
경북 포항시가 겨울 특산물 과메기의 판매부진에 원료수급 안정화를 통한 품질관리와 홍보에 팔을 걷어붙였다.
포항시는 올해 과메기 생산량을 2288t 386억원으로 전망하고 있다.
2016년 3679t 515억원, 2017년 3213t 562억원, 2018년 2542t 429억원에 이르던 생산량이 급격히 줄었다.
과메기 재료인 꽁치의 어획량 감소와 물량 부족으로 가격이 오른 때문이다.
경북도에 따르면 꽁치 어획량은 올 10월 기준으로 연근해산이 230t으로 지난 한해 637t의 3분의 1 수준이다.
원양산도 6848t으로 지난해 전체 어획량 2만3701t에 크게 못 미친다.
어획량이 줄면서 지난해 10㎏에 2만4000원이던 꽁치 가격은 올해 3만6000원으로 대폭 올랐다.
생산된 과메기의 품질도 예년만 못하다.
과메기용 꽁치는 한 마리에 125g 정도 돼야 상품성이 있는데 최근 입고된 꽁치의 크기는 평균 110g 정도에 불과하다.
3일 포항시에 따르면 10월 20일 입고된 꽁치 3000t의 경우 크기가 마리당 100~120g으로 예년보다 20g 정도 작았다.
무분별한 어획과 북태평양 수온이 올라가며 꽁치 먹이인 크릴새우가 줄어 예년에 비해 꽁치의 크기가 작은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에 시는 과메기 원료 수급 안정화와 과메기 생산업체 품질관리, 적극적인 홍보 등을 통해 판매확대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지난달 16일부터 입고된 꽁치 1000t은 마리당 135g으로 크기도 커졌으며 이번 달에도 1500t이 입고될 예정이다.
이달 중순쯤에는 꽁치 원료가격 인하에 따라 시장가격도 안정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근 소비자들이 가장 우려하는 일본 연근해에서 잡힌 ‘일본 꽁치’ 사용에 대해서는 과메기는 대부분 원양산 꽁치와 일부 대만산을 사용해 만든다며 우려를 불식시켰다.
한편, 구룡포·장기면·호미곶면·동해면 등 과메기산업특구 내에는 과메기 가공업체 180곳(조합원 170곳, 비조합원 10곳) 1500여명이 종사하고 있다.
김종식 포항시 일자리경제국장은 “경기침체 및 1차 수급된 원료 탓으로 소비가 부진했던 과메기 판매 확대를 위해 적극적인 홍보와 과메기 생산업체 품질관리를 철저하게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