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지역 혁신성장의 전초기지인 ‘충북 청주 강소연구개발특구’(이하 청주 강소특구)가 본궤도에 올랐다.
충북도는 26일 충북대학교 오창캠퍼스 융합기술원에서 충북 청주 강소연구개발특구 육성 협의체 발대식을 개최했다.
강소연구개발특구 육성 협의체는 지자체, 대학, 연구기관, 지원기관, 기업협회 등 강소특구 관련 21개 혁신기관으로 구성됐다.
협의체는 앞으로 정례회와 토론회 등을 통해 강소특구 활성화를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또 강소특구 육성사업 협력 추진, 공동장비 활용, 협력 프로젝트 수행, 기술자산 공유, 기술사업화 수요 발굴 및 활용 등 다각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해 강소특구 활성화를 위한 구심체 역할을 수행한다.
청주 강소특구는 우수한 연구개발(R&D) 역량을 갖춘 충북대(1.41㎢)를 중심으로 기업과 연구·지원기관이 집적한 오창산단 일부(0.79㎢)다. 이곳에선 스마트 IT 부품·시스템을 육성한다. 스마트 전자부품, 스마트센서, 이동체 통신 시스템 등을 세부 사업 분야로 추진한다.
배후 공간인 오창산단은 IT 분야 기업이 집적돼 관련 산업의 고도화, 기술 사업화 등이 활발하게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도는 특구를 지역 혁신성장 플랫폼 구축을 위해 연구개발과 사업화, 성장 등의 선순환 생태계로 조성할 계획이다.
청주 강소특구 내 입주한 연구소와 첨단기술기업은 법인세가 3년간 100%, 이후 2년간 50%를 감면받는다. 연구개발과 기술 사업화 촉진을 위해 연간 72억원이 지원된다. 개발 행위에 대한 인·허가 일괄 의제처리, 각종 개발 부담금 감면 등의 혜택도 주어진다.
도는 청주 강소특구 육성을 위해 충북 특화 기술사업화 모델 운영, 강소특구 혁신기관·기업 네트워크 구성, 지방세 감면 등을 통해 다각적으로 기술 사업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도는 오는 2024년까지 특구 내 연구소·기업 65개 설립, 410명의 일자리 창출, 지역내총생산(GRDP) 1412억원, 부가가치 897억원, 취업 유발 2522명 등의 파급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이장섭 충북도 정무부지사는 “청주 강소특구는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지역 혁신성장의 거점이 될 것”이라며 “시스템반도체, 미래자동차 등 충북의 미래 신성장 산업 육성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 6월 경기 안산, 경남 김해·진주·창원, 경북 포항, 충북 청주 등 6곳을 새로운 연구개발특구 모델인 강소특구로 처음으로 지정했다. 강소특구는 연구소, 대학 등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한 연구개발 거점을 뜻한다. 청주는 충북대가 핵심기관이며 스마트 IT 부품·시스템 분야 연구를 지원한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