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주일에 70시간 넘게 근무한 여성이 50시간 이하 근무한 여성보다 유산할 위험이 1.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준희 순천향대 서울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와 이완형 가천대 길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영양조사(2010~2012)에 참여한 19세 이상 여성 근로자 4078명의 유산 경험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왔다고 3일 밝혔다.
연구팀은 성인 여성 근로자 중 유산한 경험이 있는 여성 234명을 주당 근무시간에 따라 50시간 이하, 51~60시간, 61~70시간, 70시간 초과 등 네 그룹으로 나눴다. 하루 8시간 근무, 주당 40시간 근무를 원칙으로 두고 주당 12시간의 초과 근무를 허용하는 주 52시간 체제를 반영한 것이다.
일주일에 70시간 초과 근무한 여성은 9.8%가 유산을 경험했다. 반면 50시간 미만 근무한 여성의 유산 경험률은 4.9%였다.
특히 주당 70시간 넘게 일한 여성은 50시간 미만 근무한 여성에 비해 유산을 경험할 확률이 1.66배에 달했다. 주당 61~70시간 근무한 여성 역시 50시간 미만 근무 여성보다 유산 위험이 1.56배였다. 유산에 영향을 줄 만한 연령과 흡연, 음주, 비만 등 외부 요인을 모두 보정한 결과다.
이준희 교수는 “일하는 시간이 길수록 유산할 위험이 높다는 대중의 인식을 학술적으로 증명했다는 데 연구의 의미가 있다”며 “이번 연구 결과가 일하는 여성의 모성을 보호하는 정책의 근거가 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공중보건 분야 국제학술지 ‘BMC 공중보건(BMC Public Health)’에 게재됐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