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표권 보호의 중요성이 날로 높아짐에 따라 한·중·일 3국이 함께 새로운 IP생태계 조성에 나선다.
박원주 특허청장은 13일 중국 우한에서 션창위 중국 국가지식산권국 국장, 무나카타 나오코 일본 특허청장과 함께 한·중·일 특허청장 회담을 가졌다.
3국 특허청장은 이 자리에서 기존의 특허심판·디자인·교육 분야의 협력을 강화해 나가는 한편 상표 분야의 협력도 새롭게 시작하기로 합의했다.
이번 합의는 중국 정부의 조직개편에 따라 특허·디자인 등을 관장하는 중국 국가지식산권국으로 상표 업무가 통합·이관된 것을 계기로 도출됐다. 이는 우리 기업의 대중(對中) 협력 수요가 높은 상표분야의 협력 채널이 확대·강화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3국 특허청장은 또 국제 무효심판 등 지재권 쟁송 분야에 각국 특허청 간 협력의 필요성이 높아진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이에 대한 협력을 지속하기로 합의했다. 더불어 디자인 보호, 지재권 교육 분야에 대한 협력 강화에도 뜻을 모았다.
박원주 청장은 “한·중·일은 세계 특허의 60%, PCT 국제특허의 47%를 담당하는 특허 관련 세계 최대 경제권”이라며 “3국 특허청의 협력과 경쟁을 바탕으로 동아시아 지역을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IP 생태계로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