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이영수 기자] 삼성서울병원은 지난 7일 공개기자회견을 통해 메르스 대응 관련 발표를 했습니다. 그러나 이 기자회견은 기존의 국민적 의혹을 해소하지 못했고, 삼성서울병원으로 인한 메르스 확산에서도 보이듯이 매우 늦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또한 이런 늦은 기자회견은 삼성서울병원이 방역체계에서도 예외였음을 역으로 보여주었습니다.
삼성서울병원은 메르스 대응을 제대로 하지 않아 다수의 3차감염자를 양산했습니다. 삼성서울병원의 기자회견에 따르면 14번 환자가 지난 5월 27일 입원한 이후 29일까지 일반적 폐렴치료를 하고 29일에서야 메르스 환자에 접촉한 정보를 질병관리본부로부터 들어서 응급실을 소독하고, 의료진 확인 후 즉시 격리조치 시행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사실상 질병관리본부의 늦장 대응과 역학보고 미비를 핑계 삼은 것이죠.
그러나 익히 알려져 있다시피 삼성서울병원의 35번 의사는 누락되어 5월 31일이 되어서야 자발적으로 본인을 격리한 것입니다. 5월 26일에서 28일까지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에서 메르스에 감염된 환자를 간호하던 6월 6일 메르스 확진 부산거주 환자도 관리대상에서 누락됐다는 의심을 제기할 수밖에 없습니다.
또한 정부는 6월 4일이 되어서야 삼성서울병원 응급실 내원환자 600여명에 대한 추적관리를 하겠다고 밝힌 것으로 볼 때, 정부의 메르스 대응 방역체계에서 삼성서울병원은 거의 일주일간 제외되어 있었던 것이죠.
삼성서울병원은 국가 방역체계에서도 성역이었음이 드러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삼성서울병원은 의무기록, CCTV 등을 다각도로 분석한 결과 자택 및 병동 격리조치를 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이 정부와 질병관리본부에 보고 되고 지침에 따라 이루어진 것인지 삼성서울병원의 단독 조치인지 의심스러운 부분입니다.
삼성서울병원의 의료진에 대한 역학조사 등도 정부 역학조사와 함께 진행되어야 했음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진행되지 않았고, 그 결과가 35번 의사 등의 늦어진 격리문제로 드러났습니다. 이러한 결과도 여론의 압력으로 밝혀진 것입니다.
삼성서울병원은 정부의 메르스 대응 방역체계에서 제외되어 있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메르스가 병원내 감염을 통해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삼성서울병원에 대한 전면적이고 즉각적인 역학조사 및 이에 따른 조치가 요구되는 시점이기도 합니다.
정부는 정보공개와 공유를 제 때 하지 않아, 국민들을 혼란과 두려움에 빠뜨렸습니다. 이에 며칠 전부터 몇몇 병원에 대한 정보공개를 시작했죠.
그렇다면 왜 처음부터 충분한 정보공개를 통해 제대로 된 대응을 하지 못했는지에 대해, 우리는 정부가 삼성서울병원 때문에 환자가 발생한 병원명을 지금까지 공개하지 않은 것은 아닌지, 삼성서울병원이 정부통제와 협력을 거부한 것은 아닌지 의심할 수밖에 없는 것이죠.
따라서 이제라도 정부는 삼성서울병원을 거쳐 간 환자와 의료진에 대해 제대로 된 역학조사 및 대책을 마련해야 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커플 스킨십 사진' 인스타그램에서 대유행...키스신, 베드신 '화끈'
[쿠키영상] '운동하는 여성이 아름답다!'…미녀들의 고군분투
[쿠키영상] '풍만한 몸매 끝판왕'…두 미녀 모델의 대결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친절한 쿡기자] 삼성서울병원, 정부 메르스 대응 방역체계에서 제외돼 있었다?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