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지자체 최초 인권지수 개발
광주시가 인권지수 개발을 통해 UN 인권도시 지정에 나섰다. 지방자치단체가 인권지수를 만든 것은 처음이다.
광주시는 자유로운 도시 11개, 삶이 안정된 도시 36개, 안전한 도시 11개, 차별 없는 도시 36개, 연대의 도시 16개 등 5대 영역에 걸친 110개 인권지수를 선정했다고 18일 밝혔다.
자유로운 도시 분야는 사상과 의견 및 표현의 자유, 행정정보 청구 및 공개 보장, 정치적 불법 구금 및 투옥·고문, 수형자에 대한 인권지침 준수 등이다. 연대의 도시 분야는 자원봉사 등록자 수 및 참여율, 사회복지 공동모금 및 기부참여율, 헌혈참여율, 민관 인권행정 협약건수, 인권교육 실시학교 비율, 인권교육 이수자 비율, 인권교육 전문강사 인력 비율, 단체장의 민주적 리더십 운영 등이다.
삶이 안정된 도시 분야는 결식아동 지원, 과중한 학습스트레스, 시민건강 수명, 비만 인구 비율, 노인치매 조기검진 수검률, 홈리스(노숙자) 인구비율 등이다. 쾌적한 환경과 안전한 도시 분야는 환경 피해 민원발생 및 해소율, 1인당 도시공원 면적, 시각장애인 음향신호기 및 점자보도블록 설치율, 유통식품 안전성 확보율 등이다.
차별 없는 도시 분야는 최저임금 미달 근로자 수, 성폭력 및 성매매, 성 영향평가 추진과제 비율, 성분리통계 비율, 노인 취업률, 노인복지시설 이용률, 다문화 가족 지원프로그램 참여율, 소수자에 대한 문화적 포용과 관용도, 외국인노동자 근로조건 개선 등이다.
시 관계자는 “국가인권위원회 자문과 시민설명회, 인권증진심의위원회 심의, UN 최고인권대표사무소 자문 등을 거쳐 올해 안에 인권지수를 확정할 것”이라며 “내년에는 이를 토대로 UN 인권도시 지정을 구체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