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승일(사진) 한국전력 사장이 국민 공감대가 있다면 문재인정부의 탈원전 정책 기조가 전환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정재훈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이 최근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각을 세우는 발언을 하는 등 에너지 정책 관련 공공기관장들의 ‘소신 발언’이 잇따르고 있다.
11일 한전에 따르면 정 사장은 전날 전남 광주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탄소중립에서 원전의 역할을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현재 원전이 24기이고 2030년에도 24%의 발전량 비중을 가져가는데 만약 더 늘려야겠다는 게 국민 대다수 의견이라면 정부 정책이 유지가 되겠느냐”며 “저희는 현재 원전이 적정하다고 보고 있지만 더 많은 원전이 필요하다는 국민 공감대가 있다면 생각해 볼 수 있는 문제”라고 말했다.
같은 날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은 한전의 ‘빛가람 국제 전력기술 엑스포(빅스포) 2021’ 개막식 기조연설에서 “원전 없이는 탄소중립 달성이 힘들 것”이라며 문재인정부의 탈원전 정책 기조 전환을 요구한 바 있다. 이날 기자간담회 질의응답도 이 같은 맥락에서 나오게 된 것이다.
정 사장은 특정 전원에 대해 양극단으로 치닫는 논의가 안타깝다고 평가했다. 그는 “국내에서 특정 전원에 지나치게 비판 또는 우호적인 논의가 형성되는 것은 상당히 우려스럽다”며 “원전 논의가 정쟁이 아닌 과학적, 이성적으로 충분히 논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 정부의 탈원전 정책과 탄소중립 계획 간 상관관계에 대한 이야기는 꾸준히 나오고 있다. 앞서 정재훈 사장은 지난달 국회 국정감사에서 “원전 없이 탄소중립 달성이 가능하냐”는 질문에 “(원전 없이 탄소중립 달성은) 가능하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탄소중립을 위해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정부에 제시했다”고 말해 주목을 받았다. 정승일 사장도 “혁신적인 원전 기술에 대한 투자는 계속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승일 사장은 “적정 원가 보상이라는 공공요금 산정 원칙이 있다”면서 내년 1분기 전기요금 인상 필요성을 밝혔다.
세종=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