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문 표절 및 자녀 조기유학 의혹이 불거진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와 ‘보좌진 갑질’ 논란에 휩싸인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사퇴 여론이 거세지면서 여권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악화하는 여론이 신경 쓰이지만, 이들의 사퇴가 자칫 ‘낙마 릴레이’의 물꼬를 트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공존하기 때문이다. 대통령실은 국회 인사청문회 정국이 대부분 마무리되는 이번 주말까지 일단 여론 추이를 지켜보겠다는 방침이다.
대통령실은 일단 두 장관 후보자에 대한 사퇴 가능성에 선을 그었지만 고심하는 기류가 역력하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16일 브리핑에서 “대통령실은 인사청문회 과정을 지켜보고 판단하겠다는 입장에서 달라진 부분은 없다”고 말했다. ‘판단의 시점이 언제냐’는 질문에 강 대변인은 “시점도 마찬가지다. 그 부분도 고려하고 있을 것”이라며 말을 아꼈다. 대통령실 관계자도 “인사청문회를 다 마치고 나면 대통령에게 종합적인 보고를 드리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여권 내부적으론 위법 사항이 없다는 점에서 최대한 버텨야 한다는 의견도 여전하다. 여권 고위 관계자는 “법을 어겼느냐에서 낙마의 결정적 사유가 발생하는 것인데, 이 후보자도 강 후보자도 법을 위반한 것은 없지 않으냐”며 “이 정도 사유로 사퇴나 지명 철회를 하면 ‘이 사람은 잘랐는데, 저 사람은 왜 봐주냐’는 식의 프레임이 작동하기 때문에 신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주말까지 국민의 비판여론이 한계점을 넘는다면 이재명 대통령이 ‘결단’을 내릴 수밖에 없다는 관측도 적지 않다. 더불어민주당 관계자는 “이 대통령은 문을 닫아놓고 생각하는 분이 아니다”고 말했다.
두 후보에 대한 비판 여론은 확산일로다. 이날 열린 이 후보자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야당은 이 후보자의 자녀 유학 학비가 10억여원에 달한다며 ‘공교육을 포기한 교육부 장관’이라고 비판했다. 강 후보자 역시 민주당 내부에서 비판 여론이 비등하다. 전직 민주당 보좌진 A씨는 국민일보 통화에서 “과거 민주당 의원실에서 근무할 당시 강 의원실 출신 보좌진을 채용하려고 면접을 봤다”며 “강 의원실 보좌진 B씨가 찾아와 ‘이상한 친구니 뽑지 말라’는 취지로 얘기해 황당했던 기억이 난다”고 말했다. 피해를 호소하고 있는 일부 보좌진은 당 윤리감찰단이나 국회의장 직속의 객관적 조사 등을 요구하고 있다.
민주당보좌진협의회(민보협) 역대 회장단은 입장문을 내고 “강 후보자의 보좌진에 대한 갑질 논란은 국민에게 큰 충격과 실망을 안겼다”며 “이재명정부의 성공을 위해서라도 강 후보자는 즉각 국민 앞에 진정성 있는 사과를 하고, 장관 후보직에서 자진 사퇴함으로써 최소한의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14일 인사청문회 답변에 대해서도 “해명이 아닌 거짓 변명에 불과했고, 감성팔이와 본질을 벗어난 자기방어에만 급급했다”고 지적했다.
최승욱 김판 이동환 기자 applesu@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