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강의 생태적 가치 국제철새도시 인증받았다

Է:2021-05-10 13:20
ϱ
ũ


울산시는 생태하천으로 거듭난 태화강이 대도시 도심 내 하천으로는 처음으로 ‘국제철새이동경로 네트워크 사이트(FNS·Flyway network site)’에 등재됐다고 10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태화강를 비롯해 외황강, 회야호, 선암호, 울산만 등 총 57.59㎢ 구역이 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십(EAAFP : East Asian-Australasian Flyway Network Sites)에 등재됐다.

이는 세계 철새 전문가와 국제기구로부터 철새 부양 능력과 생태적 가치의 우수성을 공인받았다는 의미이다.

국내에서는 17번째다. 기존 16개 경로가 서해안 갯벌을 찾는 철새 위주였던 것에 비해 울산 경로는 동해안으로 흐르는 하천 습지와 인구 100만 이상 도심 내 하천으로는 처음이라는데 의미가 있다.

국내에는 철원평야, 한강하구, 천수만, 순천만, 우포늪, 낙동강하구, 인천 송도갯벌 등 16곳이, 해외에는 19개국, 149곳이 등재돼 있다.

더그 와킷슨(Doug Watkins) 사무총장은 “공해를 극복한 이후 철새를 보호하려는 울산시와 시민들의 노력으로 매년 개체수가 증가하고 있다”며 “이는 등재 이후 태화강의 철새 부양 능력이 더 향상되고 안전한 장소가 될 것이라는 기대로 작용해 전문가들이 등재 결정을 내리는데 크게 도움이 됐다”고 설명했다.

시는 지난해 10월 삼호대숲 백로 개체수 조사, 제8회 아시아 버드페어, 철새서식지 관리자 워크숍, 자연환경조사 등을 통해 유무형의 인프라를 확충하고, 대상지를 외황강, 회야호 등으로 확대해 등재 신청서를 제출했다.

철새이동경로 등재 기준은 람사르 습지 등록 기준을 준용한다. 매년 물새 2만 마리 이상을 정기적으로 부양하거나 전 세계 물새 개체 중 1% 이상을 부양해야 한다.

울산 태화강 철새서식지는 최근 3년간 평균 4만 마리 이상의 철새가 찾고 있다. 또 흰죽지, 흰줄박이오리, 갈매기 등 5종의 철새가 전 세계 개체수의 1%를 초과하고 있다.

울산시 관계자는 “이번 등재는 산업과 인구밀집으로 인한 오염을 극복하면서 다시 철새가 찾아오고 그 새를 보호하는 정책과 행동을 세계가 인정해 줬다”고 강조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