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침몰 참사-단독] 실무진 반대에도 세월호 수입 강행했다

Է:2014-05-03 03:27
ϱ
ũ

청해진해운 경영진이 내부 실무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중고선박인 세월호 수입을 강행했다가 취항 후 매월 3억원 이상의 적자를 봤던 것으로 조사됐다. 청해진해운은 인천~제주 항로 독점권을 유지하기 위해 세월호 추가 투입을 결정했지만 이는 곧 유동성 악화의 직접적 원인이 됐다.

인천지검 특별수사팀은 최근 청해진해운에서 선박 매각 계획 등이 담긴 구조조정 계획안을 압수한 것으로 2일 확인됐다. 검찰이 확보한 계획안에는 2~3년 내에 인천과 제주를 오가는 세월호와 오하마나호를 비롯한 보유 선박 5척을 순차적으로 팔고 일부 신규 선박을 매입하는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 세월호, 오하마나호 및 오가고호(여수~거문도) 등이 여러 해외 중고선박 매매 사이트에 매물로 나와 있다.

이는 청해진해운의 급격한 자금사정 악화에 따른 고육지책이다. 2012년 10월 도입한 세월호가 화근이었다. 당시 실무진에서는 세월호 도입을 수차례 반대했지만 경영진은 계획대로 밀어붙였다. 청해진해운 한 간부는 “계약금으로 준 10억원을 떼이더라도 세월호를 수입해서는 안 된다고 보고했었다”며 “인천~제주 항로에서 대형 여객선 2척을 운항하는 것은 수익성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결국 세월호는 지난해 3월 취항했지만 한 달에 3억5000만원 안팎의 적자를 냈다. 오하마나호만 운항할 때는 수익성이 양호했지만 세월호 추가 투입으로 비용은 배로 늘어난 반면 매출은 1.4배 증가에 그쳤다고 한다.

청해진해운은 결국 같은 해 9월부터 세월호 매각을 포함한 구조조정 계획 수립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빚을 내 취항한 지 반년 만에 매각을 검토하다 보니 선박 관리·수리 등은 뒷전으로 밀렸고, 과적 등 무리한 운항으로 최대한 수익을 뽑아낼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청해진해운은 20년간 인천~제주 운항을 독점해 왔다. 이는 3년간 평균 승선율이 35%를 넘지 않으면 신규 면허를 내주지 않는 제도 덕분이었다. 그런데 정부가 2012년부터 승선율 조건을 25%로 낮추면서 경쟁 노선 체제로 바뀔 가능성이 높아졌다. 청해진해운으로서는 무리하게 선박을 추가로 투입해서라도 경쟁 업체의 진출을 막으려 했다고 내부 직원들은 전했다.

지호일 기자, 목포=문동성 기자 blue51@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