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태원의 메디컬 인사이드] 금연 약국, 우리도 해 보자

Է:2025-01-23 00:37
ϱ
ũ

연초에 담배를 끊으려는 사람이 많을 듯하다. 흡연자 개인 의지만으로 금연할 확률은 1년에 3~5%밖에 되지 않아 진짜 절박하게 금연을 원한다면 보건소의 금연 상담이나 병의원 금연치료 프로그램을 노크해 볼 수 있겠다. 연구에 의하면 혼자서 고군분투하기보다 전문가 상담, 금연 약이나 껌·패치 등 보조제의 도움을 받으면 금연 성공률이 훨씬 높아진다.

다만 지금의 국가금연지원 서비스에 대한 매력도가 갈수록 떨어지고 있어 대책이 필요해 보인다. 병의원 금연치료 이용자는 2015년 22만여명에서 지난해 17만여명으로 줄었다. 보건소 금연클리닉 이용률도 예전 같지 않다고 한다. 두 사업 예산은 매년 쪼그라들고 있다. 2015년 담뱃세 인상 후 별다른 금연 정책이 없는 상황에서 근래 젊은층 중심으로 확산하는 합성 니코틴 액상 전자담배 등 신종담배 규제가 사실상 방치되는 현실이 금연에 대한 인식과 관심을 떨어뜨리고 있다. 지난해 국민건강통계에서 19세 이상 흡연자 가운데 한 달 이내 금연 계획이 있다는 응답률은 13.1%로, 최근 3년 연속 줄어 2005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담배제품은 다양해지고 ‘중복 흡연’(일반담배와 전자담배를 같이 피움) 등 흡연 행태가 빠르게 변하고 있는데, 국가금연지원 서비스는 10년 넘게 그대로인 점과 무관치 않다.

현행 국가금연지원 서비스의 효과에 대한 면밀한 평가가 있어야 할 시점이다. 아울러 새로운 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다. 해외 일부 나라에서 시행 중인 약국 혹은 약사의 국가금연지원 서비스 참여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캐나다 호주 영국 미국 태국 등에선 국가금연지원 서비스에 약사 참여가 이뤄지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담배규제기본협약(FCTC)이 만들어지기 훨씬 전인 1998년부터 약사의 금연지원 사업 참여를 권고하고 있다. 약사 혹은 약국이 흡연자들의 금연 동기를 북돋우고 다른 전문적인 금연 서비스로 유입시킬 수 있는 중요한 ‘관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대한금연학회지 최신호에 발표된 관련 연구 논문을 보면 호주의 경우 약사는 약국 방문 환자를 대상으로 금연 의지를 확인하고 환자의 상황과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금연 치료 및 상담을 제공한다. 처방이 필요할 경우 의사에게 연계한다. 캐나다도 모든 주정부가 약국을 통한 금연상담 서비스를 시행 중이다. 약사에 의해 금연 보조제를 지원받을 경우 최대 12주 분량에 100% 보험급여를 해준다. 약국 주도 국가금연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흡연자 중 6개월 이상 금연 유지 비율은 36%로 조사됐다(2019년). 자신의 의지만으로 금연할 확률이 5% 안팎인 것과 비교하면 훨씬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한국의 약국은 애당초 국가금연지원 서비스에서 배제돼 있다. 새해가 되면 약국에 금연 보조제를 사러 발걸음하는 흡연자들이 꽤 있다. 하지만 이들에게 전문적인 금연 상담은 요원하다. 얼마 전 금연 껌을 사러 약국을 찾은 한 지인은 “어떻게 사용해야 하느냐고 물었더니 그냥 ‘껌처럼 씹으면 된다’고 한마디 툭 던지고 말더라”고 했다. 니코틴 껌은 니코틴을 함유하고 있어 일반 껌처럼 씹으면 구토나 두통을 겪을 수 있다.

국내에서도 약국과 같은 커뮤니티 기반의 자원을 활용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약국은 전국에 약 2만4000개가 있어 접근성이 보건소(260여곳)보다 낫다. 이런 상황에서 비영리단체인 한국담배규제연구교육센터가 올해부터 선도적으로 ‘금연 약국’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어 반가운 일이다. 우선 서울 소재 약국 대상으로 참여 신청을 받고 있는데, 향후 전국으로 확대됐으면 한다. 시범사업을 통해 효과가 입증되면 정부가 국가금연지원 서비스로의 편입을 긍정적으로 검토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민태원 의학전문기자 twm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