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촌에 일손이 돌아오고 있다. 코로나19로 막혔던 하늘길이 뚫리면서 외국인 근로자가 유입된 영향이 크다. 여기에 농정당국이 나서서 올해 국내 인력 수급을 20%가량 늘리는 작업도 진행 중이다. 다만 대다수가 60대 이상 장년층이라는 게 옥에 티다. 30~50대 인력이 농촌으로 유입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일 농림축산식품부 등에 따르면 올해 1분기에 입국한 농업 분야 외국인 근로자는 전년 동기(1373명) 대비 531% 증가한 8666명으로 집계됐다. 올해 전체로는 3만8418명이 농업 현장에 투입될 예정이다. 국가 간 이동이 제한적이었던 지난해 입국한 외국인 근로자(2만2000명) 수에 비해 73% 정도 늘어나는 셈이다.
외국인 근로자뿐만 아니라 국내 인력도 늘어난다. 농식품부는 지난 3월 농업 분야 인력 수급 지원 대책을 발표하며 올해 인력 공급 목표치를 352만명으로 잡았다. 이는 전년(293만명) 대비 59만명 늘어난 규모다. 농식품부는 근로자 1명이 하루 일할 경우 이를 ‘1명’으로 계산한다.
이에 따라 밭작물 농사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보인다. 벼농사의 경우 기계화율이 99%에 달해 사실상 일손이 거의 필요하지 않다. 반면 노지에서 자라는 밭작물은 여전히 많은 인력이 필요하다. 이런 이유로 농식품부가 고추 등 10개 품목을 별도로 관리하고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특정 품목은 수확기가 짧아 단기간에 많은 인력이 필요하다. 공급에 문제가 없도록 모니터링 중”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농촌 인력의 고령화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30대 농림어업 취업자는 2021년부터 감소세다. 40~50대는 2020년부터 이미 감소가 시작됐다. 코로나19 확산 때부터 농촌에서 기회를 찾는 청년과 중년층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임금 상승 등 농업 현장 문제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인력수급 모니터링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