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유력 대권후보인 정세균(사진) 전 총리가 7일 당 지도부에 사실상 경선연기를 요청했다. 이른바 민주당 ‘빅3’로 분류되는 후보가 그동안 산발적으로만 불거지던 경선연기론에 공개적인 지지의사를 표명한 건 처음이다. 그러나 지지율 1위를 달리고 있는 이재명 경기지사 측은 여전히 반대 의사를 분명히 밝히고 있어 대선 룰을 둘러싼 내홍이 본격화될 조짐이다.
정 전 총리는 이날 서울 영등포구 마리나컨벤션센터에서 열린 K안보포럼 창립세미나 참석 뒤 취재진에게 “백신이 접종되면 경선도 활기차게 평소 모습으로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한다”며 “이런 것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경선 시기, 방법 논의를 진지하게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흥행을 위해 9월로 예정된 경선을 11월로 미루자는 경선 연기론자들의 주장에 힘을 실은 것이다.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도 취재진에게 “당내 의견이 이렇게 분분하다면 지도부가 빨리 정리해주는 것이 옳다”며 우회적으로 지지 의사를 밝혔다. 경선이 본선에 도움이 되는 방향이 돼야 한다는 지적에는 동의하느냐는 질문에도 “당연하다”고 답했다. 대선 출마를 선언한 이광재 의원도 “백신 문제가 일단락될 때 하는 것이 국민에 대한 예의”라고 밝혔다. 최문순 강원지사도 연기론을 거듭 주장했다.
민주당 당헌·당규에 따르면 대선(내년 3월 9일) 180일 전인 9월 10일까지 대선 후보를 선출해야 한다. 이를 두 달 늦춰 11월에 후보를 선출하고, 경선 시작 역시 9~10월로 미루자는 것이다. 민주당 내 초선, 친문 그룹 일부도 경선 연기 필요성을 거론하는 상태다. 대권 후발주자들로선 경선 연기 시 지지율 확보를 위한 시간을 벌 수 있게 된다는 계산이 깔려 있다.
하지만 이 지사 측은 원칙대로 하자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김병욱 의원은 “경선을 미룬다면 과연 정기국회와 국감이 제대로 되겠느냐”고 지적했다. 민주당 지도부는 원칙을 지킬 수밖에 없는 입장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후보 간 의견이 모두 모이면 당이 논의해볼 수 있겠지만, 현실적으로 총의를 모으는 것이 가능하겠느냐”고 말했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