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와 공공기관들이 인사 잡음을 없애고 공정·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잇따라 인사제도 실험에 나서고 있다.
대구시는 전국 최초로 ‘직원 배심원단’을 운영한다고 28일 밝혔다. 직원 배심원단은 공모를 통해 선정된 15명의 대구시 직원들이 인사 관련 사안을 심사하는 제도로 매번 회의 때 마다 새 배심원단을 뽑아 공정성을 높이기로 했다.
최근 열린 첫 회의에서는 전 직원 사전 설문조사를 통해 선정된 ‘격무·기피 전문 직위’와 근무희망(선호) 부서에 대해 심사했다. 일선 직원들이 공감할 수 있는 기피·희망부서를 직원들이 직접 정한다는 취지다. 인사위원회는 배심원단의 심사 결과를 참고해 최종 결정을 내린다. 대구시 관계자는 “전 직원의 의견을 최대한 녹여내는 상향식(Bottom-Up)방식을 인사에 적용했다”고 말했다.
서울 도봉구는 인사채용비리 근절을 위해 내년부터 전국 최초로 ‘고용감찰관제’를 도입한다. 고용감찰관은 모든 부서와 구 산하기관 인사 채용 시 전 과정에 참여한다. 구는 고용감찰관에게 인사채용 전반을 감독할 수 있는 권리는 물론 필요시 제도개선을 구청장에게 권고할 수 있는 권한까지 부여한다.
광주시는 다음 달부터 ‘희망인사시스템’을 가동한다. 각 공무원들이 인사 때마다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해 본인이 희망하는 부서와 보직을 3곳씩 적어 제출하고 각 실·국장은 자신이 원하는 직원을 3명씩 추천해 겹치는 직원이 있을 경우 우선적으로 발령을 내는 방식이다. 희망인사시스템에는 개인 고충과 건의사항을 최종 인사권자인 시장에게 직접 전달하는 ‘인사고충 핫라인’ 코너도 개설된다.
부산시교육청은 내년부터 ‘지방공무원 전보점수제’를 시행한다. 업무량과 원거리 근무 등의 항목을 점수화해 점수가 높은 직원부터 자신이 원하는 근무지로 발령하는 방식이다. 또 다자녀, 장애인 공무원에게 가점을 줘 희망 기관에서 일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울산해양경찰서는 지난 9월부터 인사 발령에 대한 직원들의 여론을 수렴해 실제 인사에 반영하는 ‘인사예고제’를 시행하고 있다. 인사 일정과 인사 대상, 승진, 전보 등에 대한 원칙을 사전에 공개하고 이에 대한 직원들의 의견을 수렴해 형평성 시비를 없애겠다는 취지다.
충남소방본부는 올해 초부터 전국 최초로 구축한 인사배치 전산 시스템을 통해 인사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이 시스템은 각 소방공무원의 근무 희망 소방서를 조사해 인사 불만족 지수를 산출하고 불만족 지수가 높은 직원을 희망 소방서에 먼저 발령하는 방식이다.
대구·광주=최일영 장선욱 기자, 전국종합 mc10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공정한 인사제도’ 실험 나선 지자체들
대구 ‘직원배심원단’ 심사 참여, 서울 도봉구 ‘고용감찰관’ 도입, 광주 ‘희망인사제’로 부서 배치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