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정기획위원회’가 16일 출범할 예정인 가운데 창원시가 건의 사업 발굴 보고회를 열어 주요 과제를 선정하고 대응 전략을 논의했다.
시는 국정기획위원회가 활동하는 향후 60일을 창원의 미래 성장동력 확보 기회로 보고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철학 및 새 정부 기조에 맞춘 현안을 7대 분야 22개 과제로 압축했다.
‘글로벌 첨단 제조 도시 도약’ 과제를 위해 내수산업에서 수출 효자산업으로 자리잡은 방위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국정과제에 반영해 새 정부의 K-방산 4대 강국 실현을 선도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개발제한구역(GB) 국가 전략사업 재심의를 앞둔 경남 K-방산 국가첨단산업단지의 조속 추진과 방산 부품 국산화 연구개발(R&D) 전담기관(방산부품연구원) 설립, 소부장 중심 방산 연구개발 인프라(첨단 복합빔 조사시설) 구축을 건의한다.
또 인공지능 대전환(AX)를 위한 창원 제조 특화 인공지능(AI) 혁신 인프라 구축, 창원국가산단 혁신선도형 첨단산업구조 대전환, 미래 모빌리티(드론) ‘첨단 제조 K-퀀텀점프 프로젝트’ 추진 등을 제시한다.
이와 함께 이 대통령의 ‘부울경 육해공 트라이포트 전진기지 구축’ 공약에 맞춰 진해신항을 중심으로 트라이포트(tri-port, 항만·공항·철도) 기반 해양·항만 국제물류 중심도시를 추진한다.
진해신항 트라이포트 항만배후단지 조성, 창원 트라이포트 물류 융합 중심지 육성(창원 국제물류특구 조성), 동대구~창원~가덕도 신공항 고속화철도 건설, 급행철도 CTX-진해선 구축, 가덕도 신공항 접근철도 ‘신항만역’ 신설을 제안한다.
특히 비수도권 유일 특례시지만 실질적인 행정‧재정적 권한이 부족한 상황을 풀기 위해 국회에 계류 중인 특례시 지원에 관한 특별법 통과 및 비수도권 특례시 기준 완화 등을 주문할 계획이다.
또 창원지역 의대신설, 마신지역 대표상권 활성화, 국립현대미술과 창원관 설립 등도 제안할 예정이다.
시는 국정기획위원회가 본격 가동되면 위원회를 비롯해 중앙정부, 국회 등을 상대로 창원의 핵심 현안이 국정과제로 채택될 때까지 전방위 활동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장금용 창원시장 권한대행은 “창원과 대한민국의 미래를 밝히기 위한 사업들이 국가정책에 반영돼 지속 가능한 성장의 발판이 마련될 수 있도록 60일 동안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창원=이임태 기자 sina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