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부가 전국 40개 의대에 수업 불참으로 유급·제적되는 의대생에 무관용 원칙을 적용하라고 재차 주문했다.
김홍순 교육부 의대교육지원관(의대국장)은 12일 정례브리핑에서 “각 대학이 유급·제적 대상자를 확정한 뒤 교육부에 공문으로 전달했다”며 “일단 대학을 신뢰하지만 (공문 내용과) 다르게 처리한다면 학사 지도·점검에 나설 수 있다”고 말했다. 유급·제적 의대생에 대한 엄격한 학칙 적용을 다시 확인한 것이다.
지난 7일 기준으로 유급이 확정된 의대생은 8305명이다. 전체 의대생 1만9475명의 42.6%다. 의대생 신분을 잃는 제적 처분은 46명에게 내려졌다. 최소 과목만 수강하는 등 사실상 수업 거부를 했지만, 학칙상 유급을 피한 의대생은 4416명이다. 성적 경고를 받거나 1개 과목만 수강한 건데, 이들은 계절학기 등을 통해 부족한 학점을 채우지 않으면 학기 말에 유급될 수 있다.
교육부는 내년 의대 1학년은 2024~2026학번을 합쳐 5500~6100명 수준으로 내다봤다. 당초 우려했던 1만명이 몰리는 상황은 아닌 것이다. 다만 학교마다 교육 환경이 다른 데다 이들이 향후 실습 교육을 받는 본과로 진급할 경우 의대 교육에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정헌 기자 hlee@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