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는 올해 경기도식품안전정책지원단을 통해 어린이식품안전체험관 프로그램 매뉴얼화, 식품제조가공업소 위생 컨설팅 등 다양한 식품안전 정책 지원사업을 추진한다고 6일 밝혔다. 도는 이를 통해 도민의 식품안전 수준을 높이고 전국으로 확대 가능한 정책 모델을 제시할 계획이다.
경기도식품안전정책지원단은 2023년 설치된 지자체 최초의 식품안전정책 지원 조직으로,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운영을 맡고 있다. 올해는 특히 경기도어린이식품안전체험관(부천·안양·이천·의정부) 4곳의 프로그램을 매뉴얼화해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전국으로 확대 가능성을 연구한다.
경기도어린이식품안전체험관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어린이식생활 안전 및 위해식품 판별, 영양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식품안전교육기관이다. 또한 위생등급 일반관리를 받은 도내 1186개 식품제조가공업소를 대상으로 위생관리평가표를 분석해 맞춤형 교육자료를 개발하고 컨설팅을 실시한다. 이와 함께 청년들의 취업과 업무 능력 향상을 위해 신규 품질관리자 양성 교육도 진행된다.
도민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업종별 위생법과 식품안전 지식을 담은 교육영상과 숏폼 콘텐츠도 제작된다. 지난해에는 식중독 예방 원칙 홍보 이모티콘 배포와 손소독제 및 위생장갑 제공 등 다양한 홍보 활동이 이뤄졌으며, 올해도 이를 확대할 예정이다.
지난해 경기도식품안전정책지원단은 4건의 연구사업을 추진하며 실질적 성과를 냈다. 특히 2006년 이후 개정되지 않은 ‘식중독 발생 시 현장 확인 조사표’를 보완해 식약처에 건의한 결과 일부 수용 회신을 받았다. 또한 청년들의 아이디어를 반영한 정책 제안을 위해 청년식품안전정책지원단을 운영했다.
원공식 도 식품안전과장은 “경기도는 경기도식품안전정책지원단과 함께 식품안전 문제의 다양한 원인을 분석하고 현장 중심의 정책을 시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와 정책사업을 통해 식품안전 문제를 해결하고, 도민들의 식품안전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실질적인 정책을 펼쳐 나가겠다”고 말했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