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시가 지역 숙원사업인 ‘맑은 물 하이웨이’의 조속한 추진을 위해 사업 절차 진행에 공을 들이고 있다. 정부 사업 반영을 위해 정부와의 협의도 강화할 방침이다.
대통령 직속 민관 공동심의기구인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낙동강위원회)가 최근 대구에서 대구 취수원 안동댐 이전 심의를 위한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 지역의견 청취 간담회’를 열었다. 지난 1월 첫 회의가 시민단체 반발로 무산된 이후 2개월 만에 마련된 회의로 논의 본격화 의미가 있다.
대구 취수원을 안동댐으로 이전하는 ‘맑은 물 하이웨이’ 사업을 정부 사업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낙동강위원회 심의와 의결이 필요하다. 이후 예비타당성 조사 등의 과정을 거치면 국가수도기본계획에 반영된다.
정부는 사업 추진 의지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환경부 관계자는 간담회에서 안동댐 취수 예정지 수질은 1등급으로 중금속 기준 역시 만족스러운 상태라고 설명했다. 또 안동댐 취수 이후에도 다른 지방자치단체의 물 부족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최근 낙동강위원회에 낙동강 본류 수질 개선계획을 제출한 대구시는 정부 사업 반영을 위한 조속한 심의를 촉구할 계획이라고 20일 밝혔다. 향후 기본 계획과 타당성 조사 과정 등도 꼼꼼히 챙길 방침이다.
안전한 물 확보가 절실했던 대구시는 경북 구미시와 오랜 갈등 끝에 낙동강 상류 취수원 이전 협약을 성사시켰지만 민선8기 들어 구미시의 입장 변화로 약속이 깨졌고 이에 경북 안동시와 손을 잡고 안동댐 물을 끌어오는 방식으로 사업 방향을 바꿨다.
지역 시민단체들은 대구 취수원 안동댐 이전을 놓고 찬반으로 나뉘어 각각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대구맑은물범시민추진위원회는 30년간 해결하지 못한 대구 맑은 물 공급 문제를 해결하는 최적의 방안은 안동댐 취수원 이전이라고 밝히며 안동댐 물의 안전성이 과학적으로 입증됐다고 주장했다.
반면 낙동강네트워크는 안동댐 퇴적물의 심각한 중금속 오염, 수량 부족에 따른 생태계 악화, 낙동강 본류 수질 개선 미흡 등을 이유로 사업 철회를 주장하고 있다. 환경단체 등의 반대가 조속한 사업 추진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