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2차 체포영장을 집행한 15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인근의 긴장감은 최고조에 이르렀다. 관저 입구에서는 “대통령을 지켜야 한다”는 지지자들의 연호와 “즉각 체포하라”는 반윤 시위대의 함성이 한 데 뒤섞였다. 윤 대통령 체포영장이 집행되자 지지자들 사이에서는 분노의 외침과 눈물이 동시에 터져나왔다.
윤 대통령 지지자들은 전날 밤부터 속속 모여들어 한파 속에서도 자리를 지켰다. 이들은 “공수처는 물러가라” “이재명 구속” 등을 외치며 공수처의 체포영장 집행에 강하게 반발했다. 공수처 수사팀 차량이 오전 4시20분쯤 대통령 관저 앞에 도착하자 지지자 집회에서는 고성이 터져 나왔다.
공수처와 경찰은 이날 오전 5시45분쯤부터 관저 입구에 형성된 ‘인간띠’를 돌파하며 내부 진입을 시도했다. 국민의힘 김기현 나경원 윤상현 등 의원 30여명은 관저 입구 앞에 5∼6줄로 늘어서 체포영장 집행 저지에 나섰다. 경찰은 “영장 집행을 방해하면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현행범 체포될 수 있다”고 경고 방송을 반복하며 진입을 강행했다.

공수처와 경찰의 관저 진입이 시작되자 윤 대통령 체포를 촉구하는 이들의 목소리도 높아졌다. 촛불행동 등 체포를 촉구하는 이들도 전날부터 밤샘 시위를 진행했다. 이들은 “즉각 체포하라” “경찰 힘내라” 등의 구호를 외쳤다.
집회 참여자들은 현장에 설치된 대형 전광 스크린을 통해 관저 상황을 생중계로 지켜봤다. 이들은 “경찰 진입이 시작됐다” “저지선이 뚫렸다”며 현장 상황을 공유했다. 핫팩과 귀마개 등 방한용품을 나눠주며 투쟁 의지를 불태우기도 했다.
윤 대통령이 탑승한 것으로 추정되는 차량 행렬이 오전 10시37분쯤 대통령 관저를 빠져나오자 체포를 촉구했던 집회 참여자들은 환호성을 내질렀다. 이후 윤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이 오전 10시33분 집행됐다는 보도가 나오자 “와!” 하며 서로 얼싸안았다.
이들은 관저에 투입됐던 경찰들이 빠져나오자 “고생했다”고 서로 격려하기도 했다. 일순간 축제 분위기가 연출되며 ‘다시 만난 세계’ 등 신나는 케이팝이 울려 퍼졌다. 다양한 연령대의 참여자들이 ‘윤석열 구속’ ‘윤석열 탄핵’ 등이 적힌 팻말을 들고 노래를 함께 불러 마치 콘서트장을 방불케 했다.
반면 윤 대통령 지지 집회 현장엔 윤 대통령 체포 소식이 전해지자 찬물을 끼얹은 듯 일순간 조용해졌다. 하지만 이내 곳곳에서 분노의 함성이 터져 나왔다. 한 남성은 흥분한 듯 몸에 힘을 실어 바리케이드로 돌진했고, 이를 제지하던 경찰과 몸싸움을 벌이기도 했다. 윤 대통령을 지키지 못했다며 대통령경호처를 향한 분노와 비난을 쏟아내는 사람들도 보였다.

좌절한 듯 연신 한숨을 내쉬거나 눈물을 보이는 이도 보였다. 공수처의 체포영장 집행을 저지하기 위해 노원구에서 지하철 첫차를 타고 왔다는 유진연(58)씨는 “아직 늦지 않았다. 우리가 윤 대통령을 지킬 수 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 측 석동현 변호사는 침울한 표정으로 관저에서 나온 뒤 잠시 멈춰 서서 스크린을 통해 체포영장이 집행됐다는 뉴스를 바라봤다. 그는 ‘윤 대통령의 마지막 말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고개를 젓고 서둘러 자리를 빠져나갔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