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차기 총리를 선출할 특별국회가 내달 11일 개최된다. 최근 중의원(하원) 선거에서 어느 세력도 과반을 획득하지 못한 ‘헝 의회’ 상황에 놓이며 집권 자민당뿐 아니라 제1야당인 입헌민주당에서도 차기 총리 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표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다.
요미우리신문 등은 29일 정부·여당이 다음 달 11일 차기 총리 지명 선거를 위한 특별국회를 소집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회기는 14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현행 법은 중의원 선거일로부터 30일 이내 국회 소집을 규정하고 있다.
27일 열린 중의원 선거에서 자민당은 465석 중 191석을 얻는 데 그쳤다. 연정을 구성한 공명당(24석)과 합쳐서도 과반(233석)에 미달한다. 1996년 소선거구제가 도입된 이후 10번의 중의원 선거에서 연정 세력을 포함해 과반을 확보한 정당이 나오지 않은 경우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 때문에 일반적으로 ‘요식 행위’에 불과했던 총리 지명 선거를 앞두고 각 정당이 분주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총리 지명 선거 1차 투표에선 유효 투표의 과반을 얻은 의원이 총리로 지명된다. 과반을 획득한 후보가 없다면 결선 투표로 진행되는데 이때는 다수표만 획득하면 총리가 될 수 있다. 일본 역사상 결선 투표가 열린 경우는 자민당이 창당한 1955년 이후 1979년과 1994년뿐이다.

현재 자민당과 공명당의 의석수는 215석이다. 비자금 스캔들 문제로 공천받지 못한 의원(3명)을 사후 공천하고 여당계 무소속 의원(3명)을 다 모아도 221명이다.
정치적 간극이 크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가능성은 낮지만 야권도 주요 정당인 입헌민주당(148석)과 일본유신회(38석), 국민민주당(28석)이 새 총리 선출에 합의한다면 214석을 확보할 수 있다. 야권 성향 무소속 의원(5명)을 합치면 219석으로 늘어난다. 좌파 성향의 레이와 신센구미(9석), 공산당(8석), 사회민주당(1석)까지 합치면 과반도 가능하다.
자민당과 입헌민주당은 각 당과의 접촉면을 늘리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상대적으로 의석 여유가 있는 자민당은 이시바 시게루 총리가 재선할 수 있도록 수면 아래에서 야당과 조정하고 있다. 입헌민주당도 제1야당이라는 점을 강조해 노다 요시히코 대표에게 투표해달라는 요청을 각 당에 하고 있다.
자민당 관계자는 “결선투표에서 이시바 총리와 노다 대표 중 한 사람을 선택해야 한다면 야당이 이시바에게 표를 주거나 기권할 수 있도록 고민해야 한다”며 “물밑에서 다수파를 향한 움직임은 시작됐다”고 말했다.

특히 국민민주당이 양당의 캐스팅보트로 떠오른 상황이다. 성향은 상대적으로 중도 보수에 가까우나 뿌리는 과거 민주당에 두고 있다. 이로 인해 자민당과 입헌민주당 모두 국민민주당에 최우선적으로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이시바 총리는 국민민주당의 공약인 전기·가스비 인하 등을 받아들이는 방법으로 최소 각외 협력을 얻어내겠다는 복안이다. 노다 대표는 우선 국민민주당을 포함해 야권 당수들과 회담을 추진할 방침이다.
다마키 유이치로 국민민주당 대표는 “자민당, 입헌민주당, 일본유신회 등과 간사장·국회대책위원장 차원에서 의견을 나누고 있지만 아직 결정된 것은 없다”고 말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