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격전지에 북한 인공기가 러시아 국기와 나란히 꽂혀 있는 사진이 친러시아 텔레그램 계정에 올라온 가운데, 우크라이나 당국은 사진의 조작 가능성을 제기하며 러시아 측이 공포 선전을 펼치고 있다고 주장했다.
텔레그램에서 전쟁 상황을 공유하는 친러시아 성향 계정 ‘Z작전-러시아 봄의 군사특파원’은 지난 21일 북힌과 러시아 국기가 함께 꽂힌 사진을 올리고 “북한 국기가 최근 해방된 츠쿠리노 인근 포크로우스크 전선 광산 폐석 위에 게양됐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 전투원들의 행동은 적에게 큰 혼란을 일으켰다”고 덧붙였다.
이에 우크라이나 국가 안보·국방위원회의 허위정보 대응 센터장인 안드리 코발렌코는 같은 날 자신의 텔레그램을 통해 “포크로우스크에 대한 러시아와 북한의 이야기는 정보 작전의 요소 중 하나”라며 “그들(러시아)은 지금 북한 관련 주제를 부각하며 이를 우크라이나에 대한 공포 선전으로 사용하려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코발렌코 센터장은 “러시아는 실제 북한군 파병 규모인 1만2000명을 수십만 명으로 왜곡하는 등의 방식으로 최대한 겁을 주려고 할 것”이라며 “북한군은 실제로 존재하고 전쟁에 대비하고 있지만 기록된 숫자는 적들이 말한 것과 동일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친러시아 텔레그램 계정에 게시된 사진과 관련해서도 “깃발(인공기)에 대한 이야기도 (깃발이) 어디에 얼마나 오래 걸렸든, 혹은 사진이 조작되었든 진위 여부와 관계없이 앞으로도 지속해서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은 그의 발언을 “우크라이나 군의 사기를 저하하려는 선전을 경계하라는 메시지”라고 해석했다.
한편 인공기가 걸린 도네츠크주 포크로우스크 전선은 북한군이 이미 파견돼 활동하는 곳으로 추정되는 지역이다.
우크라이나 매체 키이우포스트는 우크라이나군의 미사일 공격으로 도네츠크 인근서 북한군 장교 6명이 사망했다고 이달 초 보도했다.
국가정보원 또한 지난 18일 도네츠크 인근의 미사일 발사장에서 북한군 추정 인물이 러시아군과 함께 포착된 사진을 공개한 바 있다.
키이우 포스트의 제이슨 제이 스마트 기자는 22일 RFA에 “사진의 진위를 독립적으로 검증하기 어렵다”면서도 “(러시아에 파병된 것으로 알려진) 북한 군인들의 영상 등을 고려하면 충분히 말이 된다”고 말했다.
박선영 기자 pomme@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