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을 방문 중인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공동창업자가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에 향후 5년간 5000만 달러(약 635억원)을 기부하겠다고 발표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게이츠는 전날 중국의 베이징 소재 글로벌의약품연구개발센터(GHDDI)에서 연설한 뒤 이같은 방침을 밝혔다. GHDDI는 중국의 mRNA 연구 선도기관으로 대표된다. 2016년 칭화대, 빌&멀린다 게이츠 재단, 베이징시가 공동 설립한 중국 최초의 비영리 신약연구 개발기관으로 mRNA에 기반한 각종 백신 개발에 주력해왔다.
게이츠는 ‘혁신의 힘으로 글로벌 도전에 대응’이라는 주제로 연단에 올랐다. 그가 주목한 건 중국의 mRNA 기술이다. 게이츠는 mRNA 기술이 코로나19뿐만 아니라 결핵과 말라리아 같은 질병에도 유용하다고 판단했다면서 중국 GHDDI의 분발을 촉구했다.
그는 “GHDDI가 국제조직인 말라리아 벤처, 말라리아 약물 가속기와 협력해 임상 전 말라리아 약물 후보를 개발했다”고 공개하면서 “GHDDI의 이런 노력이 말라리아는 물론 결핵 예방과 통제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게이츠는 전 부인인 멀린다 게이츠의 권유로 빌&멀린다 게이츠 재단을 2000년 설립해 공동 운영 중이다.
mRNA 백신은 기존 백신과 달리 직접 바이러스를 주입하지 않고도 면역 반응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안전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유전 정보가 담긴 mRNA를 몸 안에 주입해 인체가 직접 치료 물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전으로 작용한다. 현재 상용화된 mRNA 백신은 화이자와 모더나 두 종류가 있다.
게이츠는 또 “세계는 지난 4년간 코로나19 전염병, 기후변화에 따른 악영향, 일부 지역의 기근을 경험했다”며 “이와 관련해 대응이 시급해졌다. 특히 질병과 싸우려면 더 나은 예방 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자신은 여전히 낙관적이라고 강조했다. 그 이유로는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과학과 기술의 전례 없는 잠재력이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게이츠는 이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면담할 것으로 알려졌다. 게이츠는 2015년 중국 하이난성에서 열린 ‘중국판 다보스’ 보아오포럼 때 시 주석을 만난 바 있다. 시 주석은 2020년 초 게이츠가 재단을 통해 코로나19 퇴치 자금 500만 달러 지원을 약속하자 직접 감사 편지를 쓰기도 했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