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진태 강원지사가 이른바 ‘레고랜드발 채권시장 자금 경색 사태’와 관련해 유감을 표시했다.
국민의힘에서는 자당 소속 김 지사가 이번 사태의 원인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책임론도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김 지사는 24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번 일로 본의 아니게 그렇지 않아도 어려운 자금 시장에 불필요한 혼란과 오해가 초래돼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강원도는 단 한번도 채무불이행을 선언한 적이 없다”며 “도가 구체적인 변제 일정을 제시했고 중앙정부도 고강도 대책을 발표했으니 금융시장이 속히 안정을 찾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김 지사는 이어 “보증 채무를 갚는 일정이 조금 앞당겨진 측면이 있지만 언제라도 갚아야 할 것이기 때문에 선후를 달리해 내년 1월까지 갚고, 강원중도개발공사(GJC) 자산을 제대로 팔아 보증 채무를 부담한 것 이상으로 혈세를 확보하겠다”고 강조했다.
즉 채무를 안 갚겠다는 뜻이 아닌 강원중도개발공사 회생 절차를 통해 변제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이다.
김 지사는 이번 사태를 촉발한 강원중도개발공사 회생 절차는 계속 추진하겠다는 견해도 재차 밝혔다.
그는 “회생 신청과 디폴트(채무 불이행)는 전혀 별개”라며 “회생법 250조에 의하면 회생은 보증 채권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회생 신청은 계속 진행이 된다”고 부연했다.
김 지사는 지난달 춘천시에 레고랜드 사업을 했던 강원중도개발공사에 대해 법원에 회생 신청을 하겠다고 발표했다.
이후 강원중도개발공사가 특수목적회사(SPC)를 통해 발행한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이 신용등급 강등 후 부도처리됐고 채권 시장이 급격하게 얼어붙었다.
해당 ABCP는 강원도의 보증으로 높은 신용등급을 받았었는데 회생 절차 진행으로 인해 시장이 우량 채권을 믿지 못하게 되는 사태가 연출된 것이다.
여야는 레고랜드 사태와 관련해 각각 최문순 전 강원도 지사와 김진태 지사에게 책임을 돌리며 공방을 벌이고 있다.
국민의힘은 최 전 지사가 제대로 된 사업성 검토 없이 레고랜드 사업을 밀어붙였다는 입장이다.
더불어민주당은 김 지사가 일촉즉발 경제위기 상황에 기름을 끼얹었다고 강력 비판하고 있다.
다만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최 전 지사에게 화살을 돌리면서도 ‘자성’의 목소리가 나온다.
주호영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비상대책위 회의에서 “최 전 지사의 책임이 결코 가볍지 않지만 강원도가 채무이행을 할 수 있음에도 미이행 발표로 불신 키운 데 대해서는 다시 한 번 돌아볼 필요가 있지 않나 싶다”며 김 지사 책임론을 우회적으로 거론했다.
주 원내대표는 “나비의 날개가 태풍을 불러온단 사실을 명심하고 모든 일을 신중하게 처리했으면 좋겠다”며 “우리가 집권하면 결과의 나쁜 것도 책임져야 하기 때문에 신중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유승민 전 의원도 “강원도지사의 말 한마디에 채권시장이 마비되고 금융시장에 공포가 덮쳤다”며 “레고랜드만 부도 내고 강원도는 무사한 방법은 애당초 없다”고 지적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