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 포항시는 제11호 태풍 힌남노로 피해를 입은 이재민들의 빠른 일상복귀를 위해 경북도와 중앙정부에 재정지원을 건의했다.
시에 따르면 태풍 발생 이후 응급복구를 위해 미리 사용한 재난복구비는 150억원이다. 중앙정부로부터 재난특별교부금 64억원을 지원받았지만, 나머지 86억원은 시 재정으로 부담해야 한다.
포항은 이번 태풍으로 주택 4037건, 상가 7000건 등의 피해를 입었다. 시는 주택 200만원, 상가 100만원의 자체 재난지원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시는 재난지원금 지급과 공공시설 응급 및 항구복구에 투입할 자체 재원이 부족해 지방채 발행을 염두에 두고 있다.
이에 이강덕 포항시장과 백인규 포항시의회 의장은 12일 이철우 경북도지사를 만나 응급복구 재난관리기금 지원과 자체 재난지원금 도비 부담비율 상향 등을 건의했다.
이 시장은 재정여건을 감안해 도와 시의 부담 비율을 3:7에서 5:5로 상향해 줄 것을 요청했다. 또 현행 규정상 주택침수의 경우 최대 200만원인 재난지원금 현실화를 위해 정부 재난지원금 부담률 상향에 대해 도와 시가 함께 건의하기로 했다.
상가의 경우 정부 재난지원금 지원대상이 아니지만, 지난 8월 서울시 집중호우 때 피해 소상공인에게 200만원을 지급한 사례가 있어 동일하게 200만원을 지급할 수 있도록 도와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
시는 정부 재난지원금과 자체 재난지원금, 의연금(주택), 재해구호기금(상가)을 포함해 최대 500만원을 지급한다는 계획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태풍피해 복구와 이재민들의 빠른 일상복귀를 위해 포항시의 건의사항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포항시의 재정여건만으로는 실질적 재난지원금 지급과 항구적인 예방사업 추진에 한계가 있다”며 “중앙부처의 예산지원과 관련해 경북도와 협력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