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이 “대화할 준비가 됐지만 군사작전은 계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우크라이나와 협상에 임해도 교전을 당장 중단하지 않겠다는 얘기다.
라브로프 장관은 3일(현지시간) 러시아 국영방송에 생중계된 내외신 기자회견에서 “이번 주 초 우크라이나에 대화 제안을 보낸 뒤 답변을 기다리고 있다”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군사작전을 계속하는 이유로 “러시아의 안보를 위협하는 시설을 우크라이나에 그대로 둘 수 없기 때문”이라며 “우리를 위협하는 시설을 제거하는 의미의 러시아군 작전은 끝까지 진행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라브로프 장관은 군사작전의 표적을 ‘안보 위협 시설’로 지목했지만, 벨라루스 남서부 브레스트주에서 2차 회담을 시작한 이날에도 우크라이나 민간시설을 공습했다. 로이터통신은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 북쪽 체르니히우에서 이날 러시아의 공습으로 최소 9명이 사망하고 4명이 부상을 당했다”고 보도했다. 비아체슬라프 차우스 체르니히우 주지사는 “러시아가 학교 2곳과 민가들을 공격했다”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도 라브로프 장관은 우크라이나와 서방 세계의 ‘공포 조장’을 주장했다. 특히 러시아의 핵무기 사용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러시아가 아니라 서방 국가들과 우크라이나가 하고 있다”며 “핵전쟁 이야기는 이미 지금 나오고 있다. 앞서 나온 발언들, 그 말을 하는 인사들을 주의 깊게 살펴보라”고 따졌다.
라브로프 장관은 러시아의 핵무기 사용 가능성을 제기한 주체로 옌스 스톨텐베르그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사무총장,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지목했다. 그러면서 “핵전쟁과 제3차 세계대전에 대한 언급은 서방 세계가 러시아 혐오를 조장할 목적”이라고 지적했다.
라브로프 장관은 “제3차 세계대전이 핵전쟁일 수밖에 없다는 것을 누구나 안다”며 러시아 주도의 핵전쟁 위기론을 ‘서방 세계의 히스테리’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핵 위기를 일으킨 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었다. 푸틴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침공의 대가로 서방 세계의 금융 제재를 받은 지난달 27일 핵무기를 다루는 전략부대에 대해 비상 전투태세를 명령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2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