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은 22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움직임과 관련해 “우크라이나의 주권과 영토 보존은 존중돼야 한다”며 “대화를 통한 평화적 해결 방안을 적극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또 “재외국민 보호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우리 경제가 불의의 피해를 입는 일이 없도록 대응 방안을 적극적으로 강구해 달라”고 관계 부처에 지시했다.
미국이 주도하고 있는 대(對)러시아 제재에 동참하겠다는 뜻을 밝히지는 않았다. 교민 안전과 글로벌 공급망 유지에 중점을 두면서 실리 외교 기조를 이어가겠다는 방침으로 해석된다. 미국 등으로부터 제재에 협조해 달라는 요청도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및 대외경제안보전략회의 연석회의을 주재하고 “긴박하게 전개되고 있는 우크라이나 사태가 무력 충돌 상황으로 악화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세계 각국은 우크라이나 문제가 평화적으로 해결되도록 노력해야 한다”며 “한국도 적극 동참할 것”이라고 밝혔다.
우리 교민의 안전 확보를 거듭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어떠한 국제 정세하에서도 우리 국민을 보호하고 국가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확고한 대비태세를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우리 경제에 미칠 피해를 최소화하라는 주문도 했다. 문 대통령은 “사태가 장기화되고 미국 등이 러시아에 강도 높은 제재 조치를 취하게 되면 우리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기업들이 미리 대비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제공하라고 지시했다.

또 “우크라이나 정세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노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우크라이나 사태를 계기로 촉발된 미국과 러시아의 갈등이 남북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잘 관리해 달라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외교부는 이날 성명을 내고 “우크라이나의 긴장 고조 상황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한다”고 밝혔다. 다만 성명에서 ‘러시아’를 명시하지는 않았다. 러시아를 직접적으로 자극하지 않으면서 국제사회의 우려에 동참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우크라이나 상황을 주시하며 필요한 조치를 취할 계획이다. 정부는 교민 일부가 잔류 의사를 밝힌 만큼 현지 대사관 철수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 국방부는 필요할 경우 군 수송기를 현지에 파견해 교민 이송을 도울 방침이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