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코로나19 진단검사 방식이 신속항원검사 중심으로 전환된 후 자가진단키트 품귀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특히 자가진단키트 판매가 오프라인 약국과 편의점으로 제한되고 온라인 판매가 금지된 가운데, 규제 대상이 아닌 온라인 카페 등을 중심으로 개인간 거래가 이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일부 판매자는 판매 가격을 시중 가격의 최대 4~8배 수준까지 높게 책정하는 등 상황을 악용해 폭리를 취하려는 모습도 포착됐다.
14일 각종 온라인 카페에는 자가진단키트를 판매한다는 글이 여럿 확인됐다. 중고나라, 당근마켓 등 대형 중고거래 플랫폼에서는 자가검사키트가 의료기기로 분류돼 거래가 금지된다. 그러나 지역 커뮤니티 등을 기반으로 사실상 중고 거래가 이뤄지는 온라인 카페는 규제 대상에서 제외돼 개인 간 거래가 여전히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실제 한 경기도 지역 맘카페에는 전날 밤 ‘인터넷으로 급하게 자가진단키트 20개짜리 박스를 구입했다. 10개를 소분판매한다’는 글이 올라왔다. 10분도 채 지나지 않아 판매자가 나타났고, 거래가 진행되지 않았으면 사고 싶다며 대기 댓글을 남기는 이들도 있었다.
이 외에도 각종 온라인 카페에서 자가진단키트를 판매한다는 글이 올라왔다. 가격은 판매자나 묶음 판매 여부 등에 따라 개당 1만원 초반 대부터 5만원까지 제각각이다. 현재 약국에서 판매되는 자가진단키트가 개당 6000~8000원선인 것과 비교할 때 중고거래 시장에 최대 8배 수준 가격에 올라와 있는 셈이다.

팔겠다는 글뿐 아니라 역으로 키트를 구한다며 판매자를 찾는 글도 곳곳에서 확인된다. 서울 영등포 지역 온라인 카페 모임의 한 회원은 “약국 여러 곳을 돌아 다녀봤지만 (자가진단키트를) 사지 못했다. 회사에서 자가검사 해 매주 월요일 아침마다 보고하라고 한다”며 “혹시 키트 여유분을 넉넉히 가진 분이 있다면 구매가 2배에 사겠다. 쪽지 달라”는 내용의 글을 올렸다.
정부는 앞서 지난 13일부터 민간용자가진단키트의 온라인 판매를 금지했다. 자가진단키트를 ‘위기대응 의료제품’으로 지정하고 오는 3월5일가지 3주간 유통개선 조치를 취한 것이다. 이에 따라 약국과 편의점에서 구매 가능한 수량도 1회 구매에 5개로 제한됐다. 그러나 한 번에 1회 5개씩으로 제한되는 것일 뿐, 시간과 장소를 바꿔가며 몇 차례 더 사는 건 제한이 없어 사재기를 막기엔 역부족이라는 비판도 나온다. 실제 약국에서는 자가진단키트가 입고되기가 무섭게 품절되는 등의 상황이 잇따르고 있다. 품절 사태가 잇따르며 지난달만 해도 약국에서 개당 3000~5000원 수준에 판매되던 진단키트 가격도 치솟았다.
정부는 이달 말까지 약국·편의점에서 구입할 수 있는 개인 구매용 키트 3000만명분, 선별진료소와 취약계층 지원 등 공공분야용 2400만명분 등을 집중 공급하는 한편 최고가격제(가격상한제) 도입 등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다음달에는 2월 물량의 2배 이상인 1억9000만명분을 공급할 예정인 만큼 조만간 상황이 안정될 것으로 보고 있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