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00억원 상당의 환매 중단 사태를 일으킨 ‘디스커버리 펀드’의 개방형 상품 가입자들도 대부분 손실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디스커버리 펀드 환매 중단’ 사건을 수사하고 있는 경찰은 환매 특혜 여부와 함께 디스커버리자산운용 측이 투자자들을 속였는지 여부를 집중적으로 수사하고 있다.
서울경찰청 관계자는 14일 기자간담회에서 “판매 중단된 펀드를 운용하면서 문제가 발생했는데도 (신규 투자자를) 모집했는지가 (사기 혐의의) 중점이 돼야 한다”고 밝혔다. 경찰은 장하원 대표가 펀드가 부실해질 것을 알고도 피해자들에게 이를 숨긴 채 계속 판매했는지, 신규 투자금을 수익금으로 돌려막는 이른바 ‘폰지 사기’ 수법을 썼는지 등을 확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장 대표의 친형인 장하성 주중대사를 비롯해 김상조 전 청와대 정책실장이 디스커버리 펀드에 거액을 투자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특혜 논란도 제기됐다.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은 입출금이 자유로운 개방형 펀드와 만기시까지 입출금이 어려운 폐쇄형 펀드 두 종류를 판매했는데, 경찰은 개방형 펀드 가입에 특혜성이 있었는지도 수사하고 있다.
다만 경찰 관계자는 “개방형 펀드에 투자한 분들도 대부분 손실이 발생했다”며 “특혜 자체가 (이번 수사의) 핵심은 아니다”고 말했다. 장 대사와 김 전 실장은 모두 ‘투자는 했지만 손실을 보전받은 바 없다’는 입장이다.
경찰은 지난해 디스커버리자산운용 본사와 판매사 등 17개소를 압수수색해 관련 자료를 분석하고 있다.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사기와 자본시장법 위반 등의 혐의로 입건된 장 대표는 지난 9일과 11일 두 차례에 걸쳐 경찰 소환 조사를 받았다. 경찰은 추가 수사를 진행한 뒤 장 대표에 대한 구속영장 신청 여부도 검토할 방침이다.
김판 기자 pa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