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도와 영덕군이 동해안에 ‘국립해양생물종복원센터’ 건립이 시급하다고 보고 이 기관 유치에 적극 나섰다.
18일 경북도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오염물질, 남획·개발 등으로 해양 생태계 파괴가 가속화됨에 따라 생물 다양성 감소의 위기에 처해있고 현재 지구상의 약 870만 생물종 가운데 매일 150∼200종이 멸종되고 있으며 이 같은 추세라면 2050년에는 생물 종의 15∼37%가 멸종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지난 1993년 생물다양성협약과, 2010년 ABS 나고야 의정서 채택 등으로 생물 자원이 인류 공동 자산에서 국가 소유로 관리의 패러다임이 바뀌면서 생물 자원 확보를 위한 국가 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국립해양생물자원관과 해양환경공단이 해양 생물종 보전, 서식지 개선을 위한 사업을 하지만 보유 시설과 전문 인력 부족으로 고래, 물범, 바다거북류 등 대형 해양 생물의 복원 연구는 불가능하며 기각류, 바다거북류 등의 종 보전과 복원은 시도조차 못하고 있다.
육상 생물종의 경우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국립공원공단 국립생물종보전원에서 반달곰, 산양, 여우 등 멸종 위기 야생생물에 대한 체계적인 종복원, 구조치료 등의 업무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해양생물자원의 종복원과 증식 연구는 인공 증식 기술 개발과 사육 연구에 있어 제약이 많고 정보도 제한적이며 연구가 단기간에 성과를 내기도 어렵다. 특히 경제적 수익성도 낮아 민간 주도로 수행하기 곤란해 국가 차원의 전담 기관 설립이 시급하다는 것이 경북도와 영덕군의 판단이다.
해양수산부는 제2차 해양생태계 보전관리 기본계획(2019년), 제5차 해양환경종합계획(2020년), 제3차 해양수산발전기본계획(2021년)에 국가 차원의 체계적 해양생물종 증식과 복원을 위한 국립해양생물종복원센터 설립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입지 선정 및 타당성 조사 용역을 올해 완료했다.
경북도와 영덕군은 여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자체 타당성 검토 용역을 2019년에 완료했다. 올해는 이 센터 설립이 국가균형발전위원회의 지역균형뉴딜 추가 사업으로 선정되자 이 센터 유치와 국가 예산 확보에 적극 나서고 있다.
동해안은 한류와 난류가 만나는 조경수역으로 해양생물 다양성이 높고 혼획·좌초 등에 따른 해양동물 구조와 치료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또 제주, 남해안과 달리 넓은 위도 스펙트럼을 가져 기후 변화와 해수온도 상승에 따른 생물서식지 변화를 연구하기에 적합해 이 센터 입지로는 동해안권이 최적지로 보고 있다.
최근 7년 간(2011년∼2017년) 좌초 및 혼획된 고래류는 총 1만2257개체로 지역별로는 서해안 7105개체, 남해안 1233개체, 동해안 3919개체로 서해안에서 많은 개체가 발견됐다. 하지만 상괭이(서해안 7034개체, 남해안 1133개체)를 제외한 참돌고래, 밍크고래, 낫돌고래 등 대부분의 고래류 좌초와 혼획이 동해안에 집중돼 있다.
또 최근 6년 간(2016년∼2021년) 확인된 바다거북류의 혼획 및 구조 현황은 전체 147건 중 동해안이 86건으로 높다.
해양경찰서를 통해 파악된 2018∼2019년 동해안의 고래 혼획 현황에서는 전체 1076개체 가운데 영덕 인근 해역이 627개체로 특히 높다.
이처럼 영덕 일대는 동해안의 균일한 수온과 청정한 수질의 해수를 원활하게 확보할 수 있고 증식 및 복원 대상종 확보가 쉬우며 사구·습지·심해 등 어느 곳보다 다양한 서식처 환경을 가져 다변화된 종복원 연구 수행이 가능하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영덕은 이 기관 설립 조건에 가장 맞는 곳”이라며 “이 기관 유치로 영양의 멸종위기종복원센터와 함께 생태환경 연구 선도 지자체로 나가겠다”고 말했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