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경북 포항에서 추진하던 해상 이산화탄소(CO₂) 지중저장(CCS) 실증사업을 위한 시설을 폐쇄하고 원상 복구한다.
포항시에 따르면 정부는 포항 영일만 해상에 있는 CCS 실증사업 시설을 원상 복구하고 2023년 6월까지 17억원을 들여 사후관리 최적화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이에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와 지오텍컨설턴트, ㈜케이베이츠는 6일 포항 해상 CCS 실증사업 사후관리 최적화 방안 구축사업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들 기관은 CCS시설의 폐쇄와 해체, 원상복구를 통해 관련 기술 확보와 사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에 나설 계획이다.
포항에는 바다와 육지에 각각 CCS 저장시설이 있지만 두 곳 모두 2017년 11월 15일 발생한 포항지진 여파로 가동이 중단됐다.
이번에 폐쇄가 결정된 해상 시설은 지금까지 예산 238억원이 투입됐다. 2013년부터 산업부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공주대 등과 손잡고 약 1만t을 주입하기로 한 시설이다. 포항지진이 일어나기 1년 전인 2016년 11월 100t이 시험 주입됐다.
포항시 남구 장기면에 있는 육상 저장시설은 지난해 12월 원상복구를 완료했다. 이 시설은 가스 주입정을 800m까지 판 상태에서 시험 주입 전 가동을 멈췄다.
시는 그동안 CO₂저장시설에 대한 시민의 반감과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시설 폐쇄 및 원상복구를 요구했다.
포항시 관계자는 “학계에서도 CCS 시설의 이산화탄소 누출사고 등 안전성 여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며 “시민들의 불안감 해소를 위해 원상복구까지 지속적으로 관리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