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시가 10년 넘게 끌어온 물 문제 해결을 위해 취수원 ‘이전’에서 ‘다변화’로 정책 방향을 바꿨지만 여전히 지방자치단체 간 이견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가 경북의 해당 기초단체들을 어떻게 설득하느냐가 물 문제 해결의 열쇠가 될 전망이다.
대구 취수원 문제 등 낙동강 물 문제 해법을 찾기 위해 환경부가 실시한 ‘낙동강 유역 통합물관리 방안 마련’ 등 2건의 연구용역에 대한 중간보고회가 5일 경남 창원에서 열릴 예정이었지만 환경단체 등의 반발로 연기됐다.
환경부가 낸 중간 결과 발표 자료에는 대구 내 수원과 다른 지역 수원을 조합해 안전한 물을 확보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구미 해평취수장+초고도정수처리’ ‘안동 임하댐+초고도정수처리’ ‘강변여과수 개발+초고도정수처리’ 중 1가지를 선택해 물 문제를 해결하자는 것이다.
대구시는 용역에서 제시한 안을 물 문제의 해법으로 삼기로 했다. 권 시장은 중간보고회에 앞서 담화문을 발표했는데 낙동강 물의 합리적 배분을 위해 취수원 공동 활용지역인 해평취수장이나 임하댐에서 일부를 취수하고 부족한 수량은 현재의 대구 문산·매곡 취수장에서 감당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대구시는 물 문제 해결을 위해 취수원 공동 활용지역에 합리적인 보상을 제공하는 방식을 검토할 방침이다. 또 공동 활용지역에 대한 상생 기금 조성, 이 지역에 필요한 국책사업 추진 등에도 나설 계획이다.
이날 경남도청에서 열린 제1회 영남권 미래발전협의회에 참석한 권영진 대구시장 등 영남 5개 지자체 시·도지사들은 낙동강 물 문제를 5개 지자체가 힘을 모아 해결하기로 약속했다. 하지만 낙동강 상류 다변화 정책의 핵심인 구미와 안동이 반발하고 있다.
10년 넘게 취수원 이전 문제로 대구와 갈등을 빚은 구미시는 다변화 안에 대해 대구와 합의된 것이 없다며 불편함을 감추지 않았다. 안동시도 자료를 내고 임하댐 취수에 대해 부정적인 뜻을 밝혔다.
대구 취수원 이전 논의는 2009년부터 시작됐다. 대구시는 그동안 발생한 낙동강 오염 사태 원인 대부분이 구미공단이었기 때문에 취수원을 매곡·문산 정수장에서 상류쪽으로 56㎞ 떨어진 구미 해평취수장으로 옮기기를 원했다. 해평취수장은 구미공단에서 20㎞ 상류에 있다.
그러나 그동안 구미시와 구미지역 시민단체 등은 대구 취수원을 이전하면 낙동강 수질 악화와 수량 부족, 재산권 침해 등의 우려가 있다며 이전을 반대했다. 지난해 정부가 나서 대구·경북·부산·울산·경남을 모두 아우르는 낙동강 물 문제 해법을 찾기로 했고 이에 관련 연구용역을 실시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