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건강이상설이 제기된 가운데 통일부는 22일 북한의 특이동향은 발견되지 않았다는 입장을 재차 밝혔다.
윤상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통일부와 외교부 당국자를 불러 비공개 간담회를 진행한 후 취재진을 만나 “통일부는 현재까지 특이동향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한다”며 “향후 동향을 예의주시하겠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통일부가 입장을 밝히자 의원들의 지적이 이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윤 위원장은 “김 위원장이 김일성 생일날 금수산태양궁전 참배 안 한 게 특이사항 아니냐는 질문이 나왔다”며 “CNN 뉴스에 대해 (통일부는) 사실무근이라고 하는데 왜 사실무근이냐고 반박했다” 설명했다.
윤 위원장은 김 위원장이 지방 시찰을 하고 있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선 “원산에서 김정은이 활동하고 있다고 하는데 자세히 모르겠다”고 했다. 이날 비공개 간담회에서는 김 위원장의 지방 시찰과 관련된 통일부의 보고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간담회에는 주무부처 장관인 김연철 통일부·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참석할 예정이었지만 이들은 끝내 참석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외통위원들은 “국회와 국민을 무시하는 처사”라며 강하게 성토했다. 윤 위원장은 간담회 시작에 앞서 “(김·강 장관이) 참석한다고 했다가 아무 설명도 없이 불참해 매우 유감이다. 한마디로 국회와 국민을 무시하는 처사”라며 “행정부가 국회를 이런 식으로 대하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윤 위원장은 한·미 방위비 분담금 문제와 관련해선 “결국 ‘탑 네고시에이터’(Top negociator·최고협상자)인 대통령 선으로 넘어가지 않을까 추측한다”고 설명했다. 한·미 간 이견이 커서 협상 상황이 녹록치 않다는 점을 암시한 것으로 보인다.
윤 위원장은 “우리 정부는 현재의 13% 인상안이 최상의 안이라고 생각하고 있고,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반대한다고 해도 지금 당장 나서서 협상할 이유는 없다고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외교부는 13% 인상안은 이미 양국 각료(장관)의 승인을 받은 상태라고 보고했다”며 “어떤 식의 또 다른 딜(deal)이 있을지 모르지만 최근 한·미 대통령 통화에서 이 이야기가 오가지 않았기 때문에 결국은 대통령 선으로 넘어가지 않겠나. 청와대와 백악관의 NSC에서 결정하게 될 것으로 본다”고 내다봤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방위비 협상 관련 질문이 나오자 “그들(한국)이 우리에게 일정한 금액을 제시했지만 내가 거절했다”고 밝힌 바 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