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부터 정부가 전국 가정에 직접 방문해 수돗물 수질을 측정해주고, 배관 세척도 해주는 시스템이 도입된다.
환경부는 28일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95회 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수돗물 안전관리 종합대책’을 논의·확정했다.
대책에 따르면 현재 116개 지방자치단체가 참여하고 있는 ‘수돗물 안심확인제’를 2025년까지 전국 모든 지자체로 확대 시행한다. 따라서 전국의 모든 주민들은 한국수자원공사나 지자체에 신청만 하면 가정방문을 통해 수돗물 수질검사 및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 계량기부터 수도꼭지까지 옥내배관의 진단·세척 서비스도 받을 수 있다.

정부는 또 취수원에서 가정의 수도꼭지까지 수돗물 공급 전과정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수돗물 사고가 발생하면 오염된 수돗물을 차단하는 ‘스마트 상수도관리체계’도 내년 43개 지자체에 시범 도입한 뒤 2022년 전국으로 확대한다.
스마트 상수도 관리체계는 수질·수량·수압 모니터링 장치와 자동배수설비, 정밀여과장치 등을 관망에 설치해 실시간으로 수돗물 공급 상태를 점검하고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이다. 수돗물이 오염되면 자동으로 배수설비가 관망에서 물을 빼내게 돼 가정의 수도꼭지까지 오염된 수돗물이 도달하는 것을 막는 방식이다. 스마트 워터 시티 시범 사업을 하는 경기도 파주에서는 수돗물 직접 음용률이 36.3%로 전국 평균 7.2%와 비교해 약 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또 인천 ‘붉은 수돗물’ 사태의 직접 원인이었던 수계전환(물 공급 관로를 바꿔주는 과정) 업무를 2020년부터 관련 교육을 이수한 사람만 담당할 수 있도록 규정을 바꾸기로 했다.
2028년까지로 예정됐던 노후 수도관 교체 사업도 일정을 앞당겨 2024년에 마무리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2020∼2024년 연도별로 나눠서 시작할 예정이었던 48개 노후 수도관 교체 사업을 내년에 모두 시작하기로 했다. 2022년까지 전국 노후 수도관을 정밀 조사해 문제가 있는 곳은 추가로 정비할 계획이다. 수도시설의 잔존 수명을 예측해 보수 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하는 ‘생애주기 관리기법’도 내년에 12개 지방자치단체에서 시범 운영한 뒤 2022년 전국으로 확대 보급한다.
김영훈 환경부 물통합정책국장은 “수돗물을 공급하는 데만 급급했던 과거의 수돗물 관리방식에서 벗어나 깨끗한 물이 각 가정까지 안전하게 도달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