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내 초미세먼지(PM 2.5)의 32%는 중국에서 왔다는 한중일 공동 연구 결과가 나왔지만 중국 관영 언론은 절반 넘는 양이 ‘한국산’이라는 점을 부각하며 한국이 중국을 탓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주장했다.
중국 신문 환구시보는 21일 “한국 내 스모그는 사실상 ‘메이드인 코리아’라는 점이 드러났다”면서 한국은 더이상 미세먼지의 주범으로 중국을 비난하지 못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앞서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20일 한중일 3국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정책 결정자를 위한 ‘동북아 장거리 이동 대기오염물질 국제 공동연구(LTP)’ 요약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 자체 기여율은 한국이 연평균 51%, 중국 91%, 일본 55%로 드러났다. 한국과 일본은 국내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초미세먼지가 절반을 조금 웃도는 반면, 중국 내 초미세먼지는 대부분 중국 내 요인으로 발생했다는 뜻이다.

이를 두고 한국 언론은 초미세먼지 공동 연구에서 중국의 영향이 인정됐다는 점을 대대적으로 보도했지만, 환구시보는 한국 내 요인에 초점을 맞췄다.
또 대기오염이 심해지는 겨울철에는 한국 내 미세먼지 중국발 요인의 영향력이 더 커지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환구시보는 이 점을 언급하지 않았다.
왕겅천 중국사회과학원 대기물리연구소 연구원은 “이번 연구 결과는 한국의 부정확한 보도를 강력히 반박한다”면서 “중국의 빠른 발전과 일부 지역의 심각한 오염을 이유로 한국과 일본이 자국 내의 초미세먼지를 놓고 중국을 비난하는 것은 비합리적”이라고 주장했다.
그간 중국 정부는 줄기차게 한국 미세먼지가 중국 때문이 아니라고 주장해왔다. 중국 환경부는 지난겨울 “서울의 미세먼지는 주로 서울에서 배출된 것” “한국이 남 탓만 하다가는 미세먼지 줄일 절호의 기회를 놓친다”는 등 한국 내의 미세먼지 중국 책임론을 여러 차례 반박했었다.
한편 중국 네티즌들도 웨이보 등에서 “한국의 스모그는 주로 ‘한국산’이라는 진실이 밝혀졌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홍근 인턴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