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청년친화도시 사업 지원 확산 추진

Է:2019-11-14 15:00
ϱ
ũ
경남도가 내년부터 지역별 맞춤형 공모사업으로 ‘청년친화도시 조성사업’을 시행한다.

경남도는 ‘청년친화도시 조성사업’을 추진해 내년부터 2022년까지 총 4개 시·군을 선정하여 3년간 104억 원(도비 52억원, 시·군비 52억원)을 투입한다고 14일 밝혔다.

올해 경남도가 정책에 청년 감수성을 입혔다면, 2020년부터는 청년감수성에 지역별 특성을 덧입혀 ‘경남형 청년정책’을 완성해 지역별 맞춤형 정책으로 확산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청년친화도시 조성사업’은 시·군에서 지역 청년들과 소통해 지역 여건에 맞는 정책을 설계 하면, 경남도가 지원사업으로 청년의 참여·활동, 생활 안정, 권리보호, 능력개발 등 다양한 사업이 포함된다.

도는 25일까지 시·군으로부터 사업 신청을 받고, 청년, 공무원,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심사위원회를 구성해 다음달 2개 시·군을 청년친화도시로 선정해 내년 2월부터 사업을 추진한다.

그동안 청년정책은 청년 인구와 기반시설의 밀집도가 높은 대도시에 비해 경남은 도농복합 광역지자체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기존 대도시 위주의 정년정책을 수용하기가 어려웠다.

경남도는 올해 청년정책 전담팀을 신설해 ‘2019~2023년 경남도 청년정책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특히 ‘경남청년네트워크’, ‘청년정책플랫폼’ 등 민관 협치 기구를 구성해 청년들이 정책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통로를 만들었다.

또 ‘면접정장 대여 사업’, ‘임차보증금 이자 지원 사업’, ‘학자금 대출 신용회복 지원 사업’ 등 청년들의 생활안정 지원 사업을 시행하면서 일자리 위주에 머물렀던 청년정책을 청년 생활 전반으로 확대하는 계기도 마련했다.

경남도는 내년부터 ‘청년정책팀’을 ‘청년정책추진단’으로 격상하고, 인원과 예산을 대폭 확대해 경남도의 청년업무를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내년도 주요 과제는 청년의 참여 확대, 청년 감수성 및 지역 여건을 반영한 정책 설계, 청년정책의 시·군 확산 등이다.

윤난실 도 사회혁신추진단장은 “청년친화도시 조성사업을 통해 지역별 청년 여건과 그 지역의 청년이 꼭 필요한 맞춤형 정책들을 발굴해 시·군이 서로 소통하고 선의의 경쟁을 통해 경남의 청년정책이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밝혔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