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인공지능(AI)을 포함한 첨단기술 개발자들의 콘퍼런스를 찾아 국가 차원의 AI 육성 의지를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데뷰(Deview·Developer's View) 2019’ 콘퍼런스에 참석했다. 이 행사는 2008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소프트웨어(SW)·AI분야 연례 콘퍼런스다. 올해는 ‘Excellence/Sharing/Growth’이란 주제로 이날부터 이틀간 열린다.
문 대통령이 취임 후 개발자 행사를 방문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국가전략 발표 계획을 언급한 것은 4차 산업혁명의 결정판인 AI에 대한 지원의지를 잘 보여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년 기업인, 개발자, 학생 등 1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IT강국을 넘어 AI 강국으로’라는 메시지를 담아 기조연설을 했다. 문 대통령은 연설에서 정부가 올해 안에 AI 분야를 전폭 지원하는 내용을 담은 ‘인공지능 국가전략’을 발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중심으로 AI 국가전략을 구체화하기 위한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며 “올해 안에 5개 주요대학에 AI 대학원을 설립하고 과기부 내에 인공지능 관련 전담국도 설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청와대는 AI 분야에 상당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문 대통령은 지난 7월 손정의 일본 소프트뱅크 그룹 회장을 접견했을 당시 “4차 산업혁명 선도를 위해서 한국이 집중해야 할 것은 무엇이냐”라고 물었다. 손 회장은 문 대통령에게 “한국이 집중해야 할 것은 첫째도 인공지능, 둘째도 인공지능, 셋째도 인공지능”이라고 했다. 정부는 물밑에서 AI 관련 지원 방안을 모색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문 대통령은 이번 행사에서 국내 인공지능 산업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기업들의 사례발표를 청취했다. 네이버랩스 석상옥 대표는 로봇을 활용한 AI 기술개발, 데이터 중요성과 개방전략, 글로벌연구 벨트 조성계획을 밝혔다. 이어 국내 인공지능 벤처기업의 성공사례로 수아랩 송기영 대표, 퓨리오사AI 백준호 대표 등의 발표가 이어졌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