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 포항의 관광 활성화를 위해서는 새로운 관광자원 개발보다 ‘철강 도시’ ‘해양도시’라는 강점을 살리고 흩어져 있는 관광자원에 대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포항시는 19일 영일만관광특구 지정을 기념하고, 시 승격 70년과 2019 포항방문의 해를 맞아 관광산업의 방향성을 정립하기 위한 ‘포항관광 활성화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은 이강덕 포항시장과 서재원 포항시의회 의장을 비롯해 포항문화관광협회, 포항해양관광협의회, 문화관광해설사 등 관광관련 기관·단체 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문가 주제발표’와 ‘패널토론’, ‘질의응답’의 순으로 진행됐다.
김민 동국대 호텔관광외식경영학부 교수는 ‘700만 유치를 위한 포항 관광 활성화 방안’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포항시의 관광정책은 보유하고 있는 관광 콘텐츠를 현재 트렌드에 맞춰 수정·보완하고 새로운 콘텐츠는 보충하는 개념으로 가야한다”고 밝혔다.
이어 “특정 시기에 집중된 포항국제불빛축제 등 대형 행사를 분산하고 경주 등 주변 도시와 연계한 메가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며 “포항은 ‘철강 도시’라는 이미지가 가장 강한 도시인 만큼 포항제철소와 연계한 관광콘텐츠를 개발하면 특색 있는 관광자원으로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지난 8월 지정된 포항시 영일만 관광특구를 중심으로 한 관광활성화 방안도 제시했다.
그는 “관광특구 내 포인트 관광을 확대해 체류형 관광 콘텐츠를 확보하고 민관 협의체 구성, 뉴딜사업과 관광 진흥 사업연계가 필요하다”며 “관광계층별 타겟 관광체험프로그램 개발, 매력적인 숙박시설 조성, 장기간 관람을 요하는 크루즈 관광 프로그램 개발 등을 통해 해양관광 거점으로의 도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지역마케팅기구 또는 관광협회, 지방자치단체 등의 다양한 마케팅 활동 전개는 물론 도시재생과 연계한 새로운 거점 중심의 뉴딜사업 진행으로 관광산업과 신산업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앞서 ‘관광 트렌드 분석 및 발전전략’이라는 제목으로 첫 주제발표에 나선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강현수 연구원은 “첨단과학 인프라와 바다를 비롯한 자연이 있는 포항의 경우는 최근 여행 추세에 잘 맞을 뿐만 아니라 비즈니스와 레저의 조합을 통한 시장공략도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계절별로 다양한 볼거리·먹거리·즐길거리를 특화한 사계절 특화 프로그램을 통해 ‘가고 싶은 포항, 잊지 못할 포항, 또 가고 싶은 포항’이 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꼼꼼하게 챙겨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