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도심 일대에서 이어지고 있는 반일(反日) 집회가 광복절인 오는 15일 최고조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민주노총, 정의기억연대, 한국진보연대 등 700여개 단체가 모인 ‘아베규탄 시민행동(시민행동)’ 관계자는 11일 “광복절에 개최하는 5차 집회 참가인원은 10만명이 목표다. 실제로도 4~5만명이 참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민행동은 1~4차 집회처럼 촛불문화제와 행진을 기본으로 하되, 광복절 관련 퍼포먼스를 추가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시민행동은 지난달 20일 1차 촛불대회를 시작으로 매주 토요일 서울 도심에서 집회를 열고 있다. 지난 10일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규탄 4차 촛불문화제에는 1만5000여명(주최측 추산)이 참여했다. 지난 3일 3차 집회와 비슷한 규모다.
시민행동은 광복절 이후에도 반일 집회를 지속하겠다는 계획이다. 시민행동 관계자는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파기 통보 기한이 오는 24일이다. 광복절 이후에도 한·일 관계에 별다른 진전이 없다면 계속해서 촛불문화제를 열 것”이라고 설명했다.
광복절에는 다른 집회도 열린다. 민주노총 산하 강제동원공동행동은 15일 서울광장에서 일본 강제동원 문제해결을 위한 시민대회 및 국제평화행진을, 8·15민족통일대회 추진위원회는 광화문광장에서 자주와 평화를 위한 민족통일대회·평화손잡기 행사를 연다. 14일에는 일본군위안부기림일 기념식이 예정돼 있다.

민주노총도 15일 광화문광장에서 전국노동자대회를 열고 지소미아 폐기, 강제징용 배상 이행 촉구의 목소리를 낸다. 노동자대회에는 1만명 참가가 예상된다. 민주노총 관계자는 “강제동원 손해배상 판결에 대한 보복으로 수출 규제에 나선 일본 정부를 규탄한다”며 “노동자들이 일본대사관 방향으로 강제징용노동자상을 앞세워 밀고 행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10일 집회에서 시민들은 ‘NO(노) 아베’라는 손 팻말을 들고 ‘아베 정권 규탄한다’ ‘친일적폐 청산하라’는 구호를 외쳤다. 회사원 정하연(34)씨는 “우리가 행동으로 보여줘야 한다. 일본의 경제보복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집회에 나오겠다”고 말했다. 장준우(41)씨는 “미래 세대에 잘못된 역사를 물려줄 수 없다”며 “광복절에도 아이와 함께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박구인 기자 capta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