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의 시민단체들이 국보 285호인 반구대암각화보 대책으로 사연댐에 수문을 설치하자며 주장하고 나섰다. 특히 한 시민단체은 반구대암각화 현장에 릴레이 단식 농성에 들어갔다.
8일 울산시 등에 따르면 대곡천반구대암각화유네스코등재시민모임과 반구대암각화구하기 운동본부 회원 20여명은 지난달 29일 부터 울산시가 수문 설치안을 받아들일 때까지 1명이 하루씩 단식 농성을 벌이고 있다. 오는 28일까지 반구대 암각화 현장에서 농성 벌인 뒤 이후에는 시청으로 장소를 옮겨 단식 투쟁을 이어갈 방침이다.
이들은 “반구대 암각화를 구하는 일은 국격의 문제이고, 유네스코 등재를 위해 하루 속히 사연댐 수문을 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곡천 반구대암각화군 유네스코등재 시민모임이 이기우 대표는 “반구대 암각화 앞을 흐르는 대곡천 수위를 낮춰 바위그림이 물에 잠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대곡천 하류의 사연댐 수위를 47m 이하로 유지할 수 있도록 댐 여수로의 고도를 낮추고 호우 등의 비상사태를 고려해 수문까지 설치하는 방안이 제기된 상황”이라고 말했다.
반구대 암각화는 1965년 대곡천 하류에 사연댐이 건설된 이후 54년 동안 1년 중 길게는 193일 짧게는 32일간 물에 잠겼다가 드러나기를 되풀이하며 암각화 훼손이 가속화되고 있다.
지난 6~7일에도 태풍 프란시스코의 영향으로 사연댐 유역에 80㎜에 가까운 비가 내려 반구대암각화 하단부가 물에 잠겼다.
울산시는 2003년 부터 암각화 보존방안을 추진해 오고 있지만 식수 확보 문제로 답보상태다.
이들이 주장하는 사연댐 수문설치도 사실 쉽지는 않다. 공학적인 측면에서 효과가 입증되지 않고 식수 문제와 함께 홍수 대비책마저 무너질 수 있기 때문이다.
울산시 의회도 사연댐 수문 설치를 촉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울산시 관계자는 “지난 4월 국무총리실 주재로 체결한 ‘낙동강 물 문제 해소를 위한 업무협약에 따라 연구용역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울산의 청정원수 확보방안 및 반구대암각화 보존방안이 마련돼야 수문설치 가능성과 댐 하류 하천에 미치는 영향 등을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시민단체들 반구대암각화 ‘물고문’ 사연댐 수문설치로 해결하자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