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이 2일 우리나라를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하는 조치를 결정한 것과 관련해 대구시와 경북도가 지역 기업들의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대구시는 다음주 초 시장주재 대책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달 시는 일본이 1차 수출제한조치를 발표함에 따라 지역기업의 피해상황을 모니터링하는 한편 대응방안을 모색해왔다. 시가 분석한 결과 지난해 기준 일본으로부터 수입하는 지역기업은 854곳으로 수입 규모가 약 6억5073만 달러(7700억여원)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시는 특히 대구지역 대일 수입은 기계, 화학, 철강금속 등 제조업 관련분야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일본 수출제한조치 확대가 지역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기준 대구지역 기계, 부품, 소재 분야 대일 수입 상위 25개 품목 중 대일 수입의존도가 50%이상인 품목은 6개로 분석됐다. 6개 품목의 지역기업 동향을 살펴보면 소재·부품 분야는 상대적으로 대체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지만 기계분야는 신규설비투자·부품확보 등에 대한 우려가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산업분야별 동향을 살펴보면 섬유분야 기업들은 자동차, 전기·전자부품 등에 사용되는 아라미드섬유, 탄소섬유 등 산업섬유소재의 수급에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자동차 분야 기업들은 일본에서 수입하는 소재·부품 비중이 높지 않아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다수였지만 사태 장기화로 인한 일본 거래처와의 관계악화가 수출·매출 감소로 이어질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존재했다.
시는 통제대상이 된 전략물자품목과 대구지역 주요수입품목을 비교분석해 대응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지역기업의 피해상황 모니터링과 지원대책 수립을 위한 ‘일본수출규제 비상대책단(단장 이승호 경제부시장)을 운영하고 신속한 대체소재 발굴에 우선 지원할 방침이다. 또 대구신용보증재단을 통해 일본 수출규제 피해기업에게 기업당 2억원씩 최대 100억원(보증요율 연 0.9% 고정금리)을 지원하는 등 지역기업 피해 최소화를 위한 조치도 이어갈 예정이다.
경북도도 비상 체제에 들어갔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휴가를 반납하고 2일 오후 ‘일본 백색국가 지정 제외 대책회의’를 개최했다. 도는 도내 기업에 예상되는 피해를 분석하고 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다각도로 마련하기로 했다. 정부의 관계장관회의 등 대응책과 연계방안, 도 차원에서 가능한 모든 규제 완화 검토, 핵심부품·소재·장비 국산화 등 일본 수출규제 관련 예타면제 사업 발굴 및 예산 반영, 반도체 소재 기업 지원 등에 나설 방침이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