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읍성 5구간 학술발굴조사 착수

Է:2019-08-01 16:00
ϱ
ũ
경북 경주 읍성 발굴조사 대상지 전경사진. 경주시 제공.

경북 경주시는 1일 문화재청, 한국문화재재단과 오는 5일부터 약 7개월 동안 경주읍성 5구간에 대해 학술발굴조사를 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굴하는 5구간은 길이 약 170m, 면적 5118㎡로 읍성 동벽의 북쪽 끝부분이며 북벽으로 연결된다.

읍성의 구간은 경주시의 ‘경주 읍성 정비 복원 기본계획(2009년)’에 따라 유일하게 남아 있는 동측 성벽 56m를 2구간으로 하고 그 남쪽을 1구간, 북쪽은 공사계획에 따라 3·4·5구간으로 구분했다.

5구간과 연결된 경주 읍성의 동문인 향일문(向日門)과 성곽은 지난해 11월 경주시에서 복원·정비를 완료했다.
경북 경주읍성 도면 및 구간표시. 경주시 제공.

발굴조사는 연차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경주 읍성의 복원·정비를 위한 기초 학술자료 확보가 목적이다.

이번 읍성 5구간 이전에는 3·4구간 및 동문지 우회도로 구간 발굴을 통해 그 조사 성과가 동문과 성곽의 복원에 활용됐다.

특히, 발굴조사를 진행해 문헌기록에서도 찾을 수 없었던 동문의 옹성 자리가 확인돼 복원됐다.

이번 경주 읍성 5구간 발굴에서는 3·4구간 발굴성과를 이어, 읍성의 잔존 양상 및 범위와 시기별 증·개축 과정 및 구조를 찾아 연구하고 읍성 복원을 위한 정확한 자료를 제공할 예정이다.

5구간의 동벽 쪽에는 지상으로 남아 있는 성벽 부분이 많은 편이며 현 지표 아래에 성벽의 아랫단과 그 기초 부분이 잘 남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발굴조사 성과는 시민들과 연구자들에게 공개·공유할 계획이다.

문화재청과 경주시는 이번 조사를 바탕으로 1차 복원 완료한 동성벽과 연결해 2020년부터 발굴구간에 대해 경주읍성 복원정비를 위한 실시 설계와 공사에 착수 할 예정이다.

조사를 맡은 한국문화재재단 조사연구 3팀 박종섭 팀장은 “이번 학술발굴에서 동벽(東壁)에서 북벽(北壁)으로 이어지는 성우(城隅)의 존재와 범위, 특징 등 연결양상을 찾아 향후 북벽으로 이어지는 복원·정비의 기초자료가 되길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경주=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