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 도심에 위치해 있지만 낙후된 이미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부산진구 ‘당감동’과 ‘부암동’을 ‘서면동’으로 바꾸자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주민들의 동명 개정 움직임은 2011년과 2015년에 이어 세 번째다.
부산진구의회 방광원 주민복지위원장은 의회 5분 발언에서 부암동과 당감동 명칭을 서면동으로 바꾸자고 제안했다고 18일 밝혔다.
방 의원은 “과거 화장터가 있었던 당감동은 화장시설이 영락공원으로 이전한 지 30년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선입견이 남아 불이익이 적지 않다”며 “부산 중심인 부암동 역시 개발이 더뎌 낙후된 이미지가 강하다”고 말했다.
그는 “동명을 서면동으로 바꾸면 지역 이미지 개선과 함께 전통시장 활성화, 신규 상권 형성 등 시너지 효과도 기대된다”고 주장했다.
의회뿐만 아니라 주민들도 동명 개정에 나섰다.
부암·당감동 주민 6000여명은 동명 개정에 찬성하는 서명 용지를 의회에 제출한 상태다.
서면동 개명추진위원회 박삼득 위원장은 “수십년 째 부암동에 살면서도 누가 사는 곳을 물으면 ‘서면’이라고 답했다”며 “이미 무형의 자산가치가 인정된 서면을 더 이상 방치하지 말고 동네 이미지 개선차원에서 부암동과 당감동의 대체이름으로 사용하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그는 “서울 등 수도권 학부모들은 영재과학고와 국제중고교의 위치를 부암동과 당감동이 아닌 서면으로 알고 있다”며 “하루빨리 동네이름을 서면동으로 개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개명추진위에 따르면 현행 자치법상 동의 명칭과 구역은 종전과 같이 하고 이를 폐지하거나 설치하거나 나누거나 합칠 때에는 행안부의 승인을 받아 그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한다.
다만 명칭과 구역의 변경은 그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하고 그 결과를 광역단체장에게 보고하도록 돼 있다.
부산진구의회에서 조례 개정을 통해 부암동과 당감동을 서면동으로 바꾸기만 하면 된다. 문제는 부산진구의회 의원들의 추진의지다.
한편 서면은 공식 행정 명칭은 아니지만, 상업·금융·의료·교육 시설 등이 집중된 부산의 최대 번화가다.
부산진구 일대 아파트 상당수는 대부분 행정 명칭이 아닌 서면을 아파트 이름에 사용하고 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