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가 2022년까지 4년간 412억원을 투입해 골목상권 살리기에 나선다. 도는 30일 오전 경기도청 북부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골목상권 공동체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골목상권 공동체 지원대책은 지역경제의 핵심 주체인 소상공인과 자영업자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고 역량을 키우기 위해 마련됐다. 2022년까지 412억원을 들여 골목상권 조직화, 희망상권 프로젝트, 노후상가 거리 활성화 등 3개 사업을 추진한다.
기자회견에 나선 류광열 노동일자리정책관은 “이번 대책은 도가 지난해 10월 발표한 민선7기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대책의 후속”이라며 “구도심 붕괴문제나 과당경쟁, 젠트리피케이션(상권 내몰림 현상) 등 개인이 아닌 지역사회 구성원이 함께 고민해야할 문제들을 상인 공동체를 통해 체계적으로 풀어 가는데 목적을 뒀다”고 대책의 취지를 설명했다.
우선 ‘골목상권 조직화 지원사업’은 30곳 이상의 골목상권 소상공인들을 하나의 경제공동체로 조직화하고 육성함으로써 개별 점포의 한계를 극복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도는 올해 200개를 시작으로 2022년까지 총 252억원을 투입, 최종 300개의 공동체를 조직화해 지원할 계획이다.
‘희망상권 프로젝트’는 관공서 이전이나 재개발, 재건축 계획으로 인한 인구 공동화 등 위기에 처한 상권을 대상으로 특성에 맞는 해결책을 통해 활성화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사업 대상은 소상공인 사업자 100곳 이상의 밀집지역으로, 올해 2곳을 시작으로 2022년까지 8개소를 지원할 방침이다. 사업비는 연간 20억원씩 총 80억원이 투자될 예정이다.
‘노후상가거리 활성화 지원사업’은 조성된 지 20년이 넘은 노후 상가거리를 대상으로 지역 상인과 상가소유주, 주민 등이 협업하는 상생발전 모델을 발굴해 지원하는 사업이다. 도는 지난해 선정된 성남·안산과 올해 선정된 이천·시흥을 포함해 2020년까지 총 10곳에 4년간 총 80억원을 투입한다.
류 정책관은 “이번 대책으로 구도심 붕괴, 노후화, 젠트리피케이션 등 개별점포 혼자서 감당하기 어려운 외부적·환경적 요인의 문제들을 지역 주체들이 함께 고민하고 해결하는 시스템이 만들어질 것”이라며 “조직화된 상권을 대상으로 다양한 활성화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