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임명한 김외숙(52·사진) 신임 청와대 인사수석은 부산 지역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함께 평생 소외 계층의 권리를 위해 싸워온 인권변호사다.
1992년 사법연수원을 21기로 수료한 김 수석은 ‘노동변호사가 되겠다’는 신념으로 당시 부산과 경남 지역에서 활동하던 문 대통령을 찾아가 문 대통령과 노무현 전 대통령이 함께 세운 ‘합동법률사무소’에 합류했다.
김 수석은 문 대통령이 정치에 입문한 후에도 합동법률사무소의 후신인 법무법인 부산에 남아 여성, 노동 활동에 전념했다. 이후 한국여성변호사회 부회장, 부산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과 함께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비상임위원을 맡다가 2017년 6월 법제처장에 임명됐다. 참여정부 시절 김선욱 전 처장에 이은 두 번째 여성 법제처장이었다.
김 수석은 2012년 대한변협신문에 기고한 글에서 “내가 아무런 연고도 없는 부산에 와서 변호사를 시작하게 된 건 순전히 문재인 변호사 때문이었다”며 “혼자 잘 먹고 잘살기 위해 고시공부를 한 건 아니라고, 나름대로 정의감에 충만해 있던 예비 법조인들에게 그는 훌륭한 역할 모델로 이름나 있었다”고 밝힌 바 있다.
김 수석은 문 대통령이 “반복되는 쓸데없는 이야기, 순전히 억지뿐인 이야기를 늘어놓는 당사자에게도 그는 그렇게밖에 못하는 상대방의 마음을 먼저 읽을 줄 알았다”며 “돈 받고 남의 일 해주는 변호사지만 그렇게 신뢰와 의지의 대상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그를 통해 보았다”고 회고했다.
김 수석은 조현옥 인사수석에 이어 여성으로서 정부 내 균형인사를 담당하는 업무를 맡게 됐다. 다만 김 수석의 인사 업무 경험이 부족한 것 아니냐는 평가도 나온다. 주로 여성·아동 등 분야에서 활약했지만 인사 업무를 맡은 적이 없다는 지적이다. 그동안 청와대 인사 참사의 원인으로 전문성이 떨어지는 인사라인이 꼽혀왔던 만큼 우려가 커지는 형국이다. 법제처장이 인사수석을 맡은 것을 두고 또 한 번 정부의 ‘코드인사’가 재현된 것 아니냐는 평가도 나온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