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록활엽수인 ‘종가시나무’가 승용차 1만3000대가 1년 간 배출하는 온실가스를 흡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는 27일 남부권역 종가시나무(17년생)의 연간 이산화탄소 흡수량이 1㏊당 18.13t에 달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승용차의 이산화탄소 연간배출량을 2.4t으로 산정했을 경우 약 8대분의 흡수량으로, 같은 참나무과인 상수리나무의 흡수량인 16.5t과 소나무의 9.7t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이다.
현재 경남·전남·제주 등에 분포된 종가시나무 생육지는 약 1711㏊로, 전체 면적의 온실가스 흡수량을 추산할 경우 한 해 평균 승용차 1만3000여대가 배출하는 분량을 저감할 수 있다.
온실가스 저감 수종으로 종가시나무가 주목되는 이유는 기후변화로 식생대가 북상함에 따라 분포 범위가 넓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변화할 한반도 기후를 감안한다면 가로수로 심겨진 종가시나무가 자동차·공장 등에서 나오는 온실가스를 잡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참나무과 가시나무아속의 상록활엽교목이자 남부지방의 대표적인 상록수인 종가시나무(Quercus glauca)는 경관가치가 높아 가로수로 많이 활용될 뿐 아니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품종이다.
손영모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장은 “종가시나무처럼 온실가스 저감능력이 우수한 수종의 조림을 적극적으로 권장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
▶‘찜질방 데이트’ 20대 커플, 자는 손님들에 한일
▶'할머니 묻지마 폭행' 보고만 있던 지하철 승객들
▶“‘미쳤어’ 할담비 이번엔 ‘박진영-허니’로 뽐낸 춤선”
▶“클럽 VVIP가 눈 함몰될 정도로 때렸다”
▶ 승리♥유혜원 침대 위 사진 ‘꽃 꽂고 방긋’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