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나는 ‘고독사’ 어떻게 막을까… 부산시민 아이디어 공모

Է:2017-08-30 17:53
ϱ
ũ
사진=KBS 방송화면 캡처

일용직 노동자 이모씨는 지난 17일 부산 남구 대연동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사망 9개월 만이었다. 뒤늦은 발견마저 1년간 연락이 끊겼던 여동생의 방문으로 가능했다. 여동생은 열쇠수리공을 불러 문을 열고 집 안으로 들어가 죽은 오빠를 발견했다. 이씨의 시신은 모두 부패됐고, 미라화까지 일부 진행되고 있었다. 악취는 이미 집 안으로 들어가기 전부터 느껴질 만큼 진동했다. 이씨는 2012년 9월부터 4년 넘게 관리비 450만원을 연체했다. 사망 직전으로 추정되는 지난해 10월부터 도시가스 공급도 중단됐다. 하지만 이를 이상하게 여기고 신고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이씨는 2004년 아버지의 사망 이후 13년간 혼자 살았다.

지난 6월 19일 부산 동구 초량동에서도 비슷한 사건이 있었다. 61세 여성 윤모씨는 뇌종양 우울증 당뇨합병증을 앓는 중증 환자였다. 지난해 6월 관할 구청으로부터 ‘통합사례관리대상자’로 지정됐지만, 윤씨는 불과 4개월 만에 증세 호전을 이유로 명단에서 제외했다. 집주인은 지난 2월 윤씨와 연락이 닿지 않는다며 구청에 신고했다. 구청 복지담당자가 윤씨의 집을 방문한 시점은 2개월 뒤였다. 하지만 문이 잠긴 이 집에 어떤 조치도 없이 복귀해 윤씨는 발견되지 않았다. 윤씨는 다시 2개월 지나서야 이씨처럼 심하게 부패된 상태로 발견됐다. 사망 4개월 만이었다.

부산사회복지연대가 지난 6월부터 이달 17일까지 언론 보도를 분석한 결과, 관내에서 쓸쓸한 죽음을 맞은 사례는 모두 26차례 발생했다. 부산시는 더 이상의 고독사를 막기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독거노인 실태조사를 통해 생활관리사를 파견하고 응급안전 서비스를 운영하는 ‘1인 가구 고독사 예방 대책’을 지난달 26일 발표했다.

시는 이달 말부터 노인 1000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이 가운데 700명을 고독사 예방사업에 투입할 계획이다. 이른바 ‘노노(老老) 케어 사업’이다. 시는 7개 구 단위로 100명씩 노인을 배치해 주민센터 직원, 통·반장 등과 함께 고독사 고위험 가구를 순찰할 계획이다. 주요 관리 대상은 1인 가구 전수조사 결과를 통해 파악된 40대 이상 고독사 위험 가구다.

1인 가구의 증가는 고독사 발생률을 높이는 원인이다. 부산의 경우 4곳 중 한 곳이 혼자 거주하는 집이다. 5월 말 기준 관내 주민등록상 1인 가구는 50만328명으로 전체 인구수 중 14.14%에 해당한다. 이 중 시설수급자를 제외한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1인 가구는 6만4989명이다. 전체 수급자 중 44%를 차지하는 비율이다. 부산발전연구원 김형균 선임연구위원이 최근 발표한 ‘1인 가구 종합정책’에 따르면 2015년 27.1%였던 관내 1인 가구 비중은 10년 뒤 35.7%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3가구 중 1가구 꼴로 1인 가구가 나타날 것이라는 전망이다.

시는 정확한 원인 파악과 실효성 있는 고독사 예방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시민들의 의견 수렴을 병행하기로 했다. 시는 30일 ‘고독사 예방시책 제안’ 공모를 갖는다고 밝혔다. 공모 참여 희망자는 연령, 지역에 상관없이 자신이 생각한 고독사 예방책을 시 홈페이지나 우편을 이용해 제출하면 된다. 선정된 아이디어는 실제 정책과 업무에 반영될 예정이다. 공모는 다음달 1일부터 22일까지 진행된다.

서병수 시장은 “모든 시정을 집중해 고독사 예방대책을 마련하고 있다”며 “이번 공모전을 통해 다 같이 아이디어를 모아 고독사 에방을 위한 실효성 있는 대책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박은주 객원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