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북한 위기감을 부추기면서도 관저가 아닌 사저에서 출퇴근을 해서 위기 관리 태도에 문제가 있다는 공격을 받았다. 22일 지지통신에 따르면 민진당의 노다 요시히코 간사장은 이날 아베 총리가 북한 미사일 위기 관리 차원에서 도쿄의 사저가 아니라 총리 관저에 거주하면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다 간사장은 “위기 관리는 관저에서 하는 것이 철칙 아닌가”라며 “다른 국가 정상들도 모두 그렇게 하는데 왜 (아베 총리만) 사저에서 출퇴근을 하는지 모르겠다”라고 저격했다. 그러면서 “위기 관리상 있을 수 없는 일(사저 거주)을 지속하면서도 국민에게는 어째서 (북한과 관련된) 위기감을 부채질하는지 의문이 든다”라고 지적했다.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아베 총리는 전날에도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 보고를 받고 필요한 조치를 지시했다”면서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실시하고 지원하는 등 정부의 대응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라고 밝혔다. 또 “중요한 것은 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위기 때 지도자가 적시에 적절한 판단을 내려 사태를 관리할 수 있는지”라고 반박했다.
아베 총리의 사저 생활이 논란이 된 건 처음이 아니다. 2013년에는 아베 총리가 관저에 유령이 나온다는 소문 때문에 거주를 기피한다는 소문이 퍼져 일본 정부가 이를 공식 부인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총리 관저는 1936년 일본 육군 장교들이 반란을 일으켜 이누카이 쓰요시 당시 총리와 정부 관계자를 암살한 뒤 유령이 출몰한다는 소문에 휩싸였다.
권준협 기자 gao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