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거주 1인 가구의 건강상태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질환율이나 우울감은 여성이 높았고 스트레스 인지나 아침 결식률을 남성이 더 높았다. 서울시가 15일 발간한 ‘2016년 성(性)인지 통계: 서울시 여성과 남성의 건강실태 분석'을 보면 건강의 관점에서 서울에 거주하는 1인 가구 여성의 삶의 질 지수는 0.87로 남성(0.94)은 물론 여성평균(0.92)에 비해서도 확연히 낮았다.
삶의 질 지수는 운동능력, 자기관리, 일상활동, 통증·불편, 불안·우울건강 등 건강과 관련된 5가지 차원의 기술체계를 종합한 지표다.
시는 서울시여성가족재단과 함께 매년 다른 주제를 선정해 ‘성인지 통계’를 산출하고 있으며 올해는 지역사회환경 요인, 인구사회학적 요인 등 22개 영역 59개 지표와 건강상태, 건강관리, 건강행동 등의 항목을 교차 분석해 15개 영역 131개 통계지표를 산출했다.
통계에 따르면 1인 가구 여성의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질환율은 57.8%로 여성 평균(38.8%)보다 19% 포인트 높았다. 우울감을 경험한 비율은 17.0%로 1인 가구 남성(11.2%)보다 6% 포인트 높았다. 스스로 자신의 건강이 나쁘다고 생각하는 비율도 28.4%로 여성 평균(15.8%)에 비해 높았다.

전체적인 스트레스 인지율은 1인 가구 여성(31.5%)보다 남성(32.9%)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청년층(만 19~39세)은 여성이 43.4%로 남성(38.1%)보다 높았다. 중년층(만 40~49세)도 여성(43.1%)이 남성(34.4%)보다 높았다.
아침을 거르는 결식비율은 1인 가구 남성이 38.7%로 1인 가구 여성(20.8%)의 배에 가까웠다.
연령대별로 ‘삶의 질 지수’는 여성보다 남성이 전체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격차가 커지는 양상을 보이며 75세 이상 후기노년 여성의 삶의 질(0.75)이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나이가 들수록 삶의 질이 떨어지는 배경에는 경제적 이유가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원인을 묻는 질문에 청·중·장년기는 시간적 이유(여성 42.6%, 남성 48.9%)를, 노년기는 경제적인 이유(여성 59.8%, 남성 52.4%)를 가장 먼저 꼽았다.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원인 1위로는 남녀학생 모두 ‘성적과 진로에 대한 부담감(남학생 59.3%, 여학생 64.5%)’을 꼽았다. 2위는 여학생은 ‘외모(11.4%)’, 남학생은 ‘부모님과의 갈등(16.1%)’이 차지했다.
비만율은 남학생이 13.7%로 여학생(6.6%)보다 2배 이상 높았다. 그러나 정상체중 여학생의 절반 이상(50.7%)은 스스로를 비만이라고 생각한다고 응답해 정상체중 남학생의 같은 응답률(30.7%)보다 높았다.

성인 여성의 비만율은 17.6%로 남성(31.3%)의 절반 수준이지만 33.5%의 여성이 정상 체중임에도 스스로 비만이라고 느끼고 있었다. 이는 남성(16.3%)의 2배 수치다.
여성 비만율은 월 소득 100만원 미만 저소득층이 가장 높고 남성 비만율은 상대적으로 고소득층에서 높았다.
‘2016년 성인지 통계'는 책자로 발행해 지자체와 시립도서관, 대학교 등에 배포한다. 서울시 홈페이지 정보소통광장(opengov.seoul.go.kr/analysis)에서도 파일을 내려 받을 수 있다.
▶이재용 부회장이 청문회서 바른 '2300원짜리' 립밤 화제 [꿀잼포토]
▶보니하니에 나온 정유라… 샤넬 쇼핑백 든 최순실 영상 [꿀잼 영상]
▶직무정지에도 올림 머리? 청와대 출근 '미용사' 포착
▶아내 옆에서 다른 여성과 '친밀 인사' 이병헌 영상
▶[영상] "다 죽는다, 조작으로 몰아야" 최순실 녹음 파일 공개
▶“대통령에 보고할 감도 아냐”… 김장수 대답에 경악한 하태경
▶[포착] 미용시술 의혹 제기된 '얼굴에 피멍 든 박 대통령' 사진
▶'제 폰이 너무 뜨거워서…' 이완영 울컥 영상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