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론보다도 현장에서 단편을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게 현장에서 요구하는 살아있는 교육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대경대는 캠퍼스가 현장이 되는 교육을 하고 있어 그게 바로 특성화교육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이 시대의 영화산업의 멘토이자 모든 영화인들의 멘토로 손꼽히는 김동호 전 부산국제영화제 조직위원장이 대경대학에서 한 특강에서 강조한 말이다(사진).
부산 국제영화제를 세계적 규모를 키워낸 전 조직위원장은 현재 정부 문화융성위원회를 맡고 있다.
좀처럼 특강을 하지 않기로 소문난 김 전 위원장은 29일 문화예술 특성화대학인 대경대를 방문하고 관련 학과 교육현장을 꼼꼼히 둘러봤다.
이 자리에서 김 전 위원장은 “교육은 현장과 같아야 하고 그것을 제대로 학생들에게 가르쳤을 때 특성화교육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대경대 산학일체형 CO-OP 실습장(캠퍼스 강의실에 산업체 현장을 재현한 교육)을 둘러보고 “대학만의 특화된 색깔을 입힌 교육은 좋은 인재를 길러낼 수밖에 없다”며 “지역에서 문화·예술대학으로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은 예술현장에서 반드시 필요한 학생들을 길러내고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300여명의 학생들이 참여한 가운데 ‘나의 삶, 나의 영화’라는 주제로 특강을 이어갔다.
반세기가 넘는 그의 영화인생 중 남양주 영화촬영제작소 설립과정과 부산국제영화제를 성공시킨 이야기가 쏟아져 나올 때 많은 박수를 받았다.
자신 영화인생의 미덕을 ‘중용’과 ‘인간관계의 진솔함’을 꼽은 김 전 위원장은 “창의적인 노력으로 더욱 가치 있는 자신만의 재능을 발굴하고 자기발전의 기틀을 마련하라”고 조언했다.
대구=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김동호 전 부산국제영화제 조직위원장 대경대학에서 특강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