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흥국발 금융시장 불안] “한국 실물경제에 악영향은 제한적… 경계 늦춰선 안돼”

Է:2014-01-28 02:33
ϱ
ũ
[신흥국발 금융시장 불안] “한국 실물경제에 악영향은 제한적… 경계 늦춰선 안돼”

아르헨티나 터키 등 신흥국발 금융시장 불안으로 국내 주식시장이 급락하면서 실물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칠지 우려가 커지고 있다. 경제 펀더멘털(기초체력)이 양호한 우리나라의 실물경제에 끼칠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견해다. 다만 미국의 추가 양적완화 축소 등에 따라 올해 내내 금융시장이 요동칠 가능성이 있는 만큼 경계를 늦춰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다.

◇신흥국 금융불안 원인과 전망=전문가들이 신흥국 금융위기 원인으로 우선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로 대표되는 선진국 중앙은행의 유동성 공급 속도조절을 꼽았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27일 “미국의 출구전략 실시로 선진국 투자자들이 자금을 회수하는 과정에서 외환 유동성을 충분히 보유하지 못한 아르헨티나 등이 타격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외환보유액이 바닥을 드러낸 아르헨티나와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터키 등 신흥국 가운데 약한 고리가 먼저 수면 위로 떠올랐다는 것이다. 설상가상으로 브라질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 인도네시아 터키 등 올해 선거를 앞둔 신흥국에서도 정정불안에 따른 투자금 이탈이 계속되고 있다. 여기에다 중국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위축세로 돌아서며 신흥국 경제에 대한 불안감이 커진 것도 영향을 미쳤다.

한국경제연구원 김창배 거시정책연구실 연구위원은 “중국 경제지표 악화로 신흥국 경기 전반에 대한 불확실성은 더욱 확대됐다”고 진단했다.

전문가들은 신흥국 내에서도 소비 진작 카드가 남아 있는 아시아와 카드가 소진된 중남미의 차별화가 진행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차별화 속 금융충격 가능성=고승범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은 “신흥국 불안이 1997년 외환위기 때처럼 확산될 가능성은 낮다”며 “한국은 외국인 투자자금 등이 상대적으로 안정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전문가들도 여타 신흥국과 한국의 차별화 진단에 대해 동의한다. 외환보유액이 사상 최고치인 데다 단기외채 비중도 지난 한 해 7% 포인트 줄어드는 등 건전성이 개선됐기 때문이다.

정대희 한국개발연구원(KDI) 거시금융정책연구부 연구위원은 “신흥국 위기 전염 우려가 있지만 지난해 인도 인도네시아 등 신흥국 위기설이 있을 때 오히려 한국에 자금이 유입됐다는 분석도 있었다”며 “2008년 이후 외환 관련 시스템 건전성이 많이 좋아진 상태”라고 진단했다.

국제금융센터 김동완 금융시장실장은 “우리나라는 멕시코 폴란드 등과 함께 우량한 신흥국으로 분류돼 (국제 투자금 이탈에 따른) 우리나라의 직접적 타격은 거의 없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다만 그는 “신흥국 정정불안과 달리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와 중국의 경제 지표가 기대보다 좋지 않은 것은 단발성 요인이 아니라 올해 내내 금융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실물 영향 제한적=김성태 KDI 거시정책연구부 연구위원은 “실물경제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전망했다. 문제가 되고 있는 아르헨티나와 터키는 교역과 투자 등 측면에서 한국과의 관계가 거의 없는 데다 무역 규모 역시 전체의 1% 미만 수준으로 미미하다는 것이다.

김 연구위원은 “외환위기 때 아시아 신흥국들은 상당히 힘들었지만 당시 전체 세계경제는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며 “아시아 금융위기 때처럼 몇 나라가 국가부도 상태에 빠지더라도 선진국 경기가 좋아지는 흐름을 보이기 때문에 세계경제 회복세는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경제연구원 김창배 연구위원도 “문제가 발생한 신흥국들과 우리나라는 무역 연관도가 낮은 데다 경상수지 등을 볼 때 우리와 차이가 많이 나는 나라”라고 말했다.

하지만 신흥국발 금융위기의 직접 전이 효과는 없더라도 아예 악영향이 없다는 식으로 치부할 수 없는 문제라는 지적도 있다.

성태윤 교수는 “직접적 위기로 전이되지는 않지만 금융 시스템과 실물경기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성 교수는 “정부는 실물경기가 회복되고 있다고 말하지만 부동산 가격과 디플레이션 문제 등이 상존하는 상황에서 대외 충격이 닥치면 경제 전반에 어려움이 올 수 있어 준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장희 조민영 박은애 기자 jhha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